학술논문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통해 바라본 무용활동의 교육적 의미
이용수 1
- 영문명
- The Educational Meaning of Dancing Activities through Lifeworld of Danc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임현숙 임경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2호, 75~117쪽, 전체 4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살펴보고 무용 활동에 대한 경험과 의미를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무용단원 5명, 지도자 1명, 특수교사 2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이다. 연구 방법은 현상학 질적연구 중에서도 인간경험의 본질을 탐구하는 van Manen의 체험연구 방법에 근거하여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단원과 지도자와의 면담 전사본, 무용연습 참여관찰, 연구일지와 연구노트, 연구자가 학급밴드에 남겨둔 글, 학생과 학부모 댓글, 사진과 영상, 공연 프로그램 소개지, 참여자의 출판물 등이다. 수집한 질적자료를 바탕으로 van Manen의 네 가지 실존체인 시간성, 공간성, 관계성, 신체성에 따라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의미 있는 일화로 재구성하고 분석한 결과 10개의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그 결과 이 연구를 통해 지적장애인 무용단 단원의 삶에서 무용단 생활과 공연 활동은 사회와 연결되는 유일한 연결고리이며 전문 무용수로서 도약하기 위한 과정의 연속임을 알 수 있었다. 이들은 앞으로 공연의 무대를 국내에서 해외로 옮겨 대중 앞에서 몸짓을 표현해 보고 싶어 하였다. 또한, 다음 세대를 지도하는 강사로 살아가길 기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종합해 볼 때 지적장애 무용단 단원들에게 무용은 자기 삶의 방향을 설정하는 내비게이션과 같은 역할을 하고 있었다. 아울러 이들에게 장애가 있지만, 춤을 통해 도전 의식과 가능성을 널리 알리고자 하는 ‘명세이무(鳴世以舞): 춤으로써 세상을 울리자!’라는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서 지적장애인 대상 무용교육의 발전 방향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aims to look into the lifeworld of danc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xperience of dance activities of intellectually disabled members of a dance company. The participants are 5 dance members, one leader, and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 method follows a way of the research process - lived time, lived space, lived body, and lived relationship - as insisted by van Manen. The main methods for collecting data are interview an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the period of collection is four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21. Based on the collected qualitative data, 10 themes are found after analyzing and reconstructing participants’ experiences into a meaningful anecdote by applying the four existentials by van Manen. The results, through this study, the members' lives as members and performers are the only connection with society and the continuity in course to be professional dancers. They want to express their performance to the overseas stages from domestic ones and expect to be an instructor to guide the next generation. To sum up, to members of a dance company, dance plays a role as a navigator to set their life direction. Moreover, they try to spread their sense of challenge and possibility with the spirit of MeongSeoIMu(鳴世以舞, ring the world with d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xt research for the developmental direction of dance education in special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1. 들어가며
2. 어떻게 연구하였나?
3. 천천히, 함께 살아가는 지적장애인 무용단원의 생활세계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 감응적 글쓰기로 담아낸 어느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 초등 초임교사의 3년간 전문성 함양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통해 바라본 무용활동의 교육적 의미
- 얼굴의 교차: COVID-19 하의 초등교사 수업준비에서 드러난 교육주체 간 관계성
- 긍정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통해 본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
- 섭식장애 환자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게워내고 토해내는 삶
-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학교육 의미와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