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이용수 0
- 영문명
- Master-Enlightening Inquiry in the Eyes of a Child: Education Inquiry and Practice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서근원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2호, 155~17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교육의 장면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역설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교육인류학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교육인류학의 탐구와 실천 방법을 중심으로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들어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맞춤형 교육은 탈공정의 교육을 추구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교민(敎民)의 교육으로부터 회인(誨人)의 교육으로 전환하기 위한 시도다. 그런데 회인의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메논의 역설이 존재한다. 이 역설은 언어적인 방법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듀이가 제시한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한 경험의 과정이 그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런데 교원이 학생으로 하여금 역설적인 문제의 해결을 통해서 교과의 안목을 새롭게 형성하도록 하려면, 학생의 기존 안목이 무엇인지를 파악해야 하고, 학생의 문제 해결 과정을 학생의 관점에서 이해하는 가운데 적절히 지원하거나 조력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그 일을 적절히 하는 데 필요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갖추어야 한다. 문화인류학자가 내부자 관점을 이해하기 위해서 적용하는 참여관찰 방법과 레빈이 사회적 실천을 위해서 적용한 실천탐구 방법을 수정하여 상호보완적으로 적용한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구체적인 탐구와 실천의 방법이 될 수 있다. 학교 현장의 교원들이 교육인류학의 이러한 탐구와 실천의 방법을 익히게 되면 교원들은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다양한 학생들을 탐구하고 각각에 알맞은 회인의 교육을 실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인류학자가 해야 하는 실천은 워크숍을 통해서 학교 현장의 교원들에게 아이의 눈으로 회인탐구의 방법을 안내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how anthropology of education can specifically contribute to solve the problem of paradoxes that inevitably arise in the scene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method of inquiry and practice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Customized education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actively promoting in recent years is to pursue education of de-factory process. It is also an attempt to shift from the education of serf-discipline to master-enlightening. However, there is Meno's paradox in the process of master-enlightening. This paradox cannot be solved verbally. The process of experience through solving the paradoxical problem proposed by Dewey can be an alternative. However, in order for teachers to have students form a new perspective on the subject through paradoxical problem solving, they must understand what the student's existing perspective is, and they must be able to properly support or assist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from the student's point of view. And it is necessary to have the methods of inquiry and practice to do the job properly. “Master-enlightening inquiry in the eyes of a child” can be a proper concrete method for it. It is complementary application of participatory observation methods applied by cultural anthropologists to understand insider's perspectives and the practice inquiry method applied by Levin for social practice. If teachers in school field learn this method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teachers will be able to inquire various stud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nd practice the education of master-enlightening. Therefore, the practice that anthropologist of education should do is to guide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the method of Master-enlightening inquiry in the eyes of a child through workshop.
영문 초록
목차
1. 탈공정의 교육
2. 교육의 역설
3. 참여관찰과 실천탐구
4. 교육의 탐구와 실천
5.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 감응적 글쓰기로 담아낸 어느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 초등 초임교사의 3년간 전문성 함양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통해 바라본 무용활동의 교육적 의미
- 얼굴의 교차: COVID-19 하의 초등교사 수업준비에서 드러난 교육주체 간 관계성
- 긍정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통해 본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
- 섭식장애 환자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게워내고 토해내는 삶
-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학교육 의미와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