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감응적 글쓰기로 담아낸 어느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4
- 영문명
- Autoethnography o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s Life and Learning Captured in Affective Writing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박수연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2호, 237~289쪽, 전체 5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9,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점수에 맞추어 피투 되었다고 생각한 유아교육 현장의 배치에 따라, 유아교육-기계의 삶을 고군분투하며 살아가는 연구자의 삶에 의문을 품으며, 유아교육-기계(연구자)의 삶과 배움의 의미를 찾기 위하여 연구가 시도되었다. 자문화기술적 글쓰기를 위하여 연구의 주제를 반영할 수 있는 감응적 글쓰기를 창안하게 되었고, 그것을 활용하여 ‘유아교육-기계’는 ‘글쓰기-기계’로 변용되어 글쓰기를 지속하였다. 이로써 ‘피투 된 유아교육 현장에서 작동하는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은 ‘유아교육-기계의 생채기에 차오르는 새살로서의 삶과 배움’, ‘유아교육-기계에 스민 흔적으로 드러나는 충만한 삶과 배움’, ‘유아교육-기계에 응결된 힘과 속도로 이행하며 창조되는 삶과 배움’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유아교육-기계의 삶에 삶이 공명하는 사후성으로서의 배움’, ‘삶의 흔적을 통해 창조되는 배움의 횡단선’, ‘삶의 아장스망을 통한 배움의 아상블라주’로서 유아교육-기계만의 ‘삶과 배움의 종합장’을 생성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연구자 개인의 유아교육-기계를 넘어,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교육-기계로 작동하는 이들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배움을 제공하였고, 질적연구방법으로서의 자문화기술지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의 전문성 고양을 위한 교사 교육의 방향에 새로운 변곡점을 제안하는 등의 함의를 지녔다.
I attempt to find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s life meaning and learning through questioning my struggling professional life since I was arranged - agencement -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which I believed was ‘thrown’ in accordance with my exam results. For such autoethnographic writing, I did an affective writing that can reflect the topic of research. Through this,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 was transformed into a writing-machine that continuously writing. As a result, I was able to discover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s life and learning operating in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 in the following three forms: ‘life and learning as new fresh filling in the scratches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 ‘fully filled life and learning revealed by the vestiges of their permeation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 and ‘life and learning implemented and created by the power and speed condensed o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 Also, I created ‘learning as afterwardedness in a way that the life is resonat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s life,’ ‘a transversal line of learning created through the vestiges of life,’ ‘a sketchbook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s life and learning as ‘an ensemble of learning through life’s agencement.’ Beyond the researcher’s individ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machin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ose early childhood education-machines who operate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lessons including finding the meaning of life in their own way, and it has implications such as proposing a new inflection point in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in a way to enhance the expertise of teacher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utoethnography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영문 초록
목차
1. ‘유아교육-기계’로 ‘들어가며’
2. 연구방법
3. 피투된 유아교육 현장에서 작동하는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
4. 삶과 배움의 종합장
5. ‘유아교육-기계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드리우는 시’로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 감응적 글쓰기로 담아낸 어느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 초등 초임교사의 3년간 전문성 함양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통해 바라본 무용활동의 교육적 의미
- 얼굴의 교차: COVID-19 하의 초등교사 수업준비에서 드러난 교육주체 간 관계성
- 긍정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통해 본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
- 섭식장애 환자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게워내고 토해내는 삶
-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학교육 의미와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