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학교육 의미와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Meaning and Experience of University Education of Chinese Migrant Youth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채소린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25권 제2호, 291~32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6.30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중도입국청소년 교육정책이 초·중등교육 지원과 직업 및 진로교육에 집중되어 있는 가운데 대학에 진학하기 원하는 중도입국청소년을 위한 정책은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 대학진학 중도입국청소년의 경험은 비가시화되어 왔다. 이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통하여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 3인의 대학 진학과 미래계획 설계 경험을 중심으로 이들에게 대학교육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이 대학진학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대학진학 후 중도입국 청소년의 학습경험과 자기계발 전략은 어떠하며 개인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미래 기획을 어렵게 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였다. 연구결과 첫 번째, 연구참여자들은 부모세대가 경험한 이주노동자의 위치에서 이동하고자 대학진학을 선택했지만 국가와 가족 지원의 결핍 속에서 성공적인 대학 입시계획을 설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했다. 따라서 중도입국청소년 교육지원 정책은 고등교육 지원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들은 자기계발 노력에도 불구하고 신자유주의적 탁월한 인재와의 격차를 좁히지 못함에 따라 대학진학 이후에도 안정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경험했다. 연구참여자들에게 대학교육이란 학력취득을 통한 주류사회로의 통합과 상향 이동을 실현할 수 있는 가능성 확보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하지만 그 가능성이 현실화되는 것은 어려웠다. 연구참여자들의 삶의 경험은 한국사회의 청년문제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한국의 청년정책에서 배제되어 있었다. 국적을 중심으로 논의되는 현재의 청년정책과 담론에서는 청년집단 내의 다양성을 인정하고 이주배경청년들에 관한 논의들을 포함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for immigrant youth is focused on public education at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levels, and vocational and career education at the high school level. As a result, policies for immigrant youth who want to go to university are insufficient. In addition, the experiences of immigrant youths who became college students have also been invisibl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university education for three Chinese immigrant youths through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focusing on their experiences in college admissions and future planning. The first of the research results is the participants chose to go to university to move from the position of migrant workers experienced by their parents' generation. However, in the absence of national and family support,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a successful college admissions plan. Therefore, th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youth needs to be expanded to support higher education. Second study result is the participants made self-development efforts after going to university. Nevertheless, they failed to close the gap with individuals with neoliberal excellence. Because of this,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designing a stable future even after entering college. The participants expect that they would be able to integrate into mainstream society and upward mobility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However, it was difficult to turn that expectation into reality. The lif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youth problem in South Korean society. Nevertheless, they were excluded from South Korea's youth polic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break away from the current youth policies and discourses that are centered on nationality.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 diversity within the youth group, discussions on migrant youth should be included in youth policy and discourse.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연구참여자
4. 대학진학까지의 혼란과 난관
5. 대학생 자기계발 주체로서 경험한 긴장과 갈등
6. 대학진학 이후에도 해소되지 않는 미래계획의 불확실성
7.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이의 눈으로 회인(誨人)탐구: 교육인류학의 교육 탐구와 실천
- 감응적 글쓰기로 담아낸 어느 유아교육-기계의 삶과 배움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한 초등 초임교사의 3년간 전문성 함양 과정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변화를 중심으로
- 개인의 실천을 중심으로 바라본 학습공동체에서의 학습의 의미 : I대학교 학습공동체 사례를 중심으로
- 지적장애 무용단원의 생활세계를 통해 바라본 무용활동의 교육적 의미
- 얼굴의 교차: COVID-19 하의 초등교사 수업준비에서 드러난 교육주체 간 관계성
- 긍정의 교육: 교육인류학을 통해 본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
- 섭식장애 환자들의 삶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게워내고 토해내는 삶
- 중국 출신 중도입국청소년의 대학교육 의미와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