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인식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1
- 영문명
-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Educational Beliefs, Playability and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on Play Support Competenc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노소영 박희숙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4호, 187~20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인식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C도에 소재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 200명이었으며, 조사는 2024년 1월 2일부터 12일까지 약 2주간 실시하였고, 기술통계,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놀이성, 개정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놀이지원역량은 대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은 교육신념, 놀이성, 개정 누리과정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주의와 성숙주의 교육신념, 놀이성, 개정 누리과정 인식은 놀이지원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의 하위 요인 중 재미추구 동기는 놀이지원역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즉흥성은 놀이지원역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교사는 '놀이 전문가'가 아닌 '놀이 중심 교육과정의 전문가'이어야함을 시사하며, 유치원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스스로 교육신념을 점검하고 성찰해보는 기회와 더불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켜야 함을 나타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educational beliefs, playability, and the revised Nuri course on play support competency. To this end, the researcher surveyed 200 teachers working in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for about two weeks.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 tendency toward playability,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and play support competency were generally high. Second, mos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playability,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and play support competen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ird, it was found that interactiveism and maturationism educational beliefs and perception of the revised Nuri course significantly affected the play support competency. Among, the sub-factors of playability, the fun-seeking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lay-support competency, but improvis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play-support competency. This result that teachers should be "experts in the play-oriented curriculum" rather than "play experts" i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and that to strengthen the play support capabili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curriculum along with the opportunity to examine and reflect on educational beliefs on their ow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교실문해환경, 읽기동기 및 상상놀이가 유아의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 생태유아교육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생애사 연구: 최 원장 이야기
- 유아 정서지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구지역 유아의 식습관 및 우유 섭취 실태 조사
-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인식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말놀이 동시 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
- 보육교사의 놀이민감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의 불안 분석: 2014년에서 2024년 출간된 그림책을 중심으로
- 그림책 봉사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탐색
- 백희나의『알사탕』연작 속 침묵과 말하기
- 중국 유아교사의 행복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