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교실문해환경, 읽기동기 및 상상놀이가 유아의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4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classroom-literacy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Imagination mediating role of young children’s reading motivation and imaginative pla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황윤세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5권 제4호, 153~16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실문해환경과 유아의 상상력 간의 관계에서 유아의 읽기동기와 상상놀이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광주지역 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 256명과 담임교사가 참여했고, 교실의 문해환경, 유아의 읽기동기, 상상놀이 그리고 상상력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교실문해환경, 유아의 읽기동기, 상상놀이가 상상력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 관계 및 읽기흥미와 상상놀이의 매개효과를 확인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상상력 발달 과정에서 교실문해환경, 읽기동기 그리고 상상놀이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시사점은 유아의 상상력의 발달과 관련하여 교실문해환경, 읽기동기 그리고 상상놀이를 포함한 유아 상상력 각각에 대한 다양한 관련 변인 분석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on young children’s imagination, with a specific focus on the sequential mediating roles of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ve play. A total of 256 children aged 5 and 18 teachers working at a kindergarten in Seoul province participated in questionnaire survey.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regression, and bootstrapping methods via SPSS 27.0 and AMOS 27 softw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positively affected young children’s imagination. Second,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increased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ve play, which in turn increased their imagin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young children’s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ve play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pivotal role of the classroom literacy environment in fostering young children’s imagination, facilitated by increased reading interest and imaginative play. Thi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reating literacy-rich classroom settings to nurture imagin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교실문해환경, 읽기동기 및 상상놀이가 유아의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
- 유치원 교사의 교직헌신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유아권리존중 실행의 매개효과
- 생태유아교육을 운영하는 사립유치원 원장의 생애사 연구: 최 원장 이야기
- 유아 정서지능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대구지역 유아의 식습관 및 우유 섭취 실태 조사
- 유치원 교사의 교육신념, 놀이성 및 2019 개정 누리과정 인식이 놀이지원역량에 미치는 영향
- 말놀이 동시 활동에 참여한 유아의 경험
- 보육교사의 놀이민감성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의 불안 분석: 2014년에서 2024년 출간된 그림책을 중심으로
- 그림책 봉사활동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정서 탐색
- 백희나의『알사탕』연작 속 침묵과 말하기
- 중국 유아교사의 행복 연구동향 분석: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