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n analysis of moral features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f elementary school clas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진미숙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269~29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7.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초등학교 수업을 분석하고 있다. 수업 중 교사-학생의 대화적 상호작용에 담긴 도덕적 성질, 즉 '도덕적' 관계방식의 파악에 초점을 두고 있다. 대구시내 초등 교사 5명이 직접 자신의 도덕수업을 녹취ㆍ채록한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의 '도덕적 공동체' 구성을 위한 실천적 역량이 '대화력', 즉 '귀 기울이기'로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분석하였다. '귀 기울이기'의 지표로는, 아동(학생)을 '동등한 수업 참여자', 다시 말해 세계 구성주체로 인식하는 차원, 그리고 사회의 '차별과 구획화에 대한 민감성' 차원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수업의 도덕적 성질은 ① 교사들은 주로 지식에 관한 교사-학생의 수직적 권력관계를 암묵적으로 인정하고 있음을, ② 교사는 학생들의 지적 고통에 귀 기울이지 않음을, ③ 질문은 교사가 하는 것, 대답은 학생이 하는 것임을 드러내고 있다. 또한 교사가 어려운 전문용어들을 사용하거나, 수업기술 고안보다 특정 학생에 의존한 상황 해결을 택하는 데서 사회적 차별에 대한 둔감을 발견해 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교사-학생 상호작용의 도덕적 맥락에 대한 교사의 온전한 인식과 실천을 통해 수업을 개선하고 나아가 도덕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nstruct 'schools as moral communities centered on dialogue', which could, in the view of the author, come true through the dialogical rela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 Teacher is primarily in charge of the socio-historical engagement in creating such rel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moral features embedded in teacher-student interactions of elementary school classes. The method the author chose for the goal is to record the teacher-student dialogues during 10 classes of 5 teachers on tapes and to transcribe them onto paper for protocol. The methodology for analysing the data is that follows: 1) The moral quality can be represented as 'teacher's empowerment in dialogue', which is able to transform their interactions into the basement of moral communities and to be visualized as the practical virtue of 'listening-to'. 2) That virtue, 'listening-to', has two aspects, one of which is teacher's awareness and acceptance of students as the subject who can construct the world with their own perspective and the other of which is their sensitivity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division especially focused on exclusive achievement in academic part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 Teachers usually take the question form asking for one-word answer or selecting one alternative. The author interprets teachers' habits as their implicit engagement in the hierarchical power relation. 2) Teachers are not considered to be on the side of students, for the former is in the habit of using even the professional words for description and explanation. 3) Questioning falls to teacher's lot, and answering to student's lot, for teachers often ignore the unexpected and creative questions rising from students during class. 4) Teachers tend to rely on some excellent students for the role of leading the class. That reveals, the author pointed out, the insensibility of teachers to social discrimination and divi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e necessity for follow-up researches, which must aim at the clearer mapping and understanding of moral contexts that teacher-student interactions spread out.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통한 도덕교육
Ⅲ. 초등 수업에 나타난 교사-학생 상호작용
Ⅳ. 초등 수업에 나타난 교사의 대화력
Ⅴ.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미숙. (2005).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8 (2), 269-293

MLA

진미숙.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연구, 8.2(2005): 269-2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