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성열관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181~20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s a form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his autobiographical paper describes a curriculum professor's personal life history as a text around three themes of guilty, self-censorship, and progressive identity as a teacher educator. The paper discusses the author's critical reflection on the past classroom lifes and autobiographical revelation of the various developmental experiences embedded in the public schooling of Korea and lives of doctoral students and pre-service teachers' supervisor in the US. Using narrative writing, the paper reflects that: (1) author's experience as a classroom monitor in the public schooling is remembered as a mean to control students' behavior and provides a microcosm of a larger socio-technical context in which disciplinary technology was partially used to sustain more than 30 years of dictatorship. (2) author has engaged in self-censorship to avoid accusations of being a blasphemous dissident from the stages of becoming a graduate student in Korea, and this self-censorship has since become entrenched in the professional life. (3) despite theses conditions to cope with, author as a 386 generation is still looking forward to participating in the reflective and reconstructivist project as a teacher educator in teaching curriculum and evaluation in the school of education. A number of episodes and incidents addressed in this paper are interwoven as a meaningful net of author's personal life as a student in the past schooling and curriculum professor in the present.
이 연구는 내러티브적 글쓰기 방법을 통한 한 교육과정 교수의 개인사에 대한 분석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일차적으로 교사교육자로서 자신의 학교 삶을 반성적으로 분석 해 보는 노력 그 자체이며, 이차적으로는 개인사에서 나타난 특징적인 학교 삶의 일화 및 사건을 통해 한국 학교에 내재한 문화적/정치적인 주제들이 한 개인의 과거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 해석해 보기 위한 것이다. 그래서 이 자서전적 연구는 자신의 과거 학교 삶과 현재 대학에서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를 가르치는 한 교사교육자에게 발생하는 생애사적 문제를 하나의 교육과정 연구 텍스트로 삼고 있다. 이로써 이 연구에서 등장하는 개인적 성장 경험(초등학교에서 고등학교 삶)을 개발독재 시기의 학교문화, 규율과 훈육, 입시경쟁 문화, 국가주도 교육과정 등에 내재한 문화적 및 정치적 주제들과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고등학교 졸업 후 오늘날 386으로 규정되는 대학생활을 반추하면서 당시의 일화 및 개인사적 사건들이 교육과정 학자 및 교사 교육자로서 현재 저자의 삶에 어떻게 결부되어 있는지 분석하여 보았다. 이후 미국에서의 교육과정학 공부, 연구발표, 예비교사들을 가르친 경험을 현재 한국에서의 교육자적 삶과 비교하면서 본인의 정체성 및 의식성을 해석해 보았다.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Guilt
Ⅲ. Self-censorship
Ⅳ. Commitment
Ⅴ. Closing Comment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1급 정교사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