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이용수  0

영문명
An inquiry into elementary children's technological environments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ers and parents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박세원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57~8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7.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도시에 거주하는 네 명의 초등학교 아동들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를 탐구하여 아동들이 그들의 기술환경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사와 학부모의 역할을 찾고자 하였다. 자료는 주로 관찰, 대화, 면접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교사와 학부모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토대로 이야기적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결과들은, 첫째, 기술환경은 아동들의 삶의 의미를 소외시키기도 하고 창조하기도 하는 다면적 힘의 실체들로 존재하였으며, 둘째, 학부모의 책임 있는 보살핌을 받는 아동들은 기술환경과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의미 있는 삶을 구성해가는 반면에 그렇지 못한 아동들은 기술 환경과의 부정적 상호작용을 통해 힘겨운 삶을 살아간다는 것을 보여 주었으며, 셋째, 교사의 책임 있는 보살핌은 부정적인 기술환경에 노출된 아동들이 그들의 기술환경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이해를 통해,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가 아동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그들의 기술환경과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책임있는 보살핌을 제공해 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eachers and parents with the educational insights on how to play a role of helping children coping with their technological environments by exploring how five elementary children in a metropolitan area experience their technological environments. By us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s data gathering method, the collected data were transformed into a storied accounts. As a result, this study showed, first, that technology existed as a variety of powerful entities which can create or alienate children's life meanings. Second, it revealed that the children with responsible parental caring tended to cope with their technological environments more desirably than the children without responsible parental caring. Third, it implied that teachers and parents would be able to help children coping with their technological environments more desirably by providing their children with responsible caring. Considering the above understandings,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s and teachers provide children with responsible caring based on the whole understanding of each child`s life in relation to technology so that children can cope with their technological environments in more desirable way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아동의 삶과 기술환경의 관계적 의미에 관한 이야기
Ⅳ. 논의 및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세원. (2005).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교육인류학연구, 8 (2), 57-89

MLA

박세원.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교육인류학연구, 8.2(2005): 57-8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