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급 정교사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thnographic study on the inservice education for the first-class teacher certificate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김영태 김희복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1~3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7.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급 정교사 자격연수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를 통하여 교원연수문화를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해보려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2002년과 2003년 P연수원에서 실시 된 '여름 집중기' 초중등 1급 정교사 자격 연수자이며 연구방법은 문헌연구, 참여관찰 및 심층 관찰을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수자들은 1정 연수에 '통과의례'와 '점수따기'라는 두 가지 의미를 부여한다. 전자의 경우, 1정 연수는 교직생활 중 한 번은 고생해야 하는 일종의 '의례적' 연수로서 연수에 참여하고 결석만 하지 않으면 무난히 자격을 부여받을 수 있다고 생각된다. 후자의 경우, 1정 연수에서의 평가점수는 승진점수에 반영되기 때문에 단지 자격증을 따기보다는 미래를 위한 대비책으로 가능한 좋은 점수를 받아 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연수자들은 이 두 가지 중에 어느 것에 목표를 두느냐에 따라 그들의 연수활동을 이루는 주된 행위 원리가 달라진다. '통과의례'와 관련된 문화주제는 '결석은 절대 안 된다.', '다른 교사와 만나 이야기하기에 좋은 기회가 된다.' 등과 같은 것으로 대체로 연수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점수따기'와 관련된 문화주제로는 '시험에 나오는 것만 공부하면 된다.', '객관식 시험을 잘 쳐야한다'이며, 주로 시험과 관련된 행위원리들이 지배적이다. 그러므로 연수자들은 각자 두 가지 중 하나의 목표에 보다 집중하면서 연수의 의미를 해석하고 연수활동에 참여한다.
This study has three purposes. First, it introduces I-class qualification train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Second, it finds out some practical ideas for developing the training program. Third, it suggests some ideas for improving the program. With these purposes, the study conducted cultural analyses with ethnograhic approach on the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in a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P city, Korea. As the results,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very teacher student feels much stress and burden in the training course. But they accept the situation inevitable to get I-class qualification and to develop professional career as a teacher. This is the reason why teacher students positively accept the ecological conditions, i.e. authority of lecturers, facility condition of the institute, and assigned works etc. Second, there is a certain difference between public and private school teachers in their goals or expectations of qualification training. While the former group believe that the results of qualification training is critical in their teacher career, the latter group think the training is an opportunity for self development or for re-creation. So two groups act with different goals and expectations in the training. However, almost of teacher students are attending at public school. Therefore, the group climate of the training is formed by public school teachers. Even though the official purpose of the training was staff development of teachers profession, the only most significant goal of the participants is 'achieving scores' in class for the promotion of their teacher career. Besides this goal, participants accept the training course as an 'rite de passage'. Consequently almost of activities in the training are related to final 'scores' in class. All the activities in class or out-of class are directly related to scores. So they focus on their efforts to study the subjects included in final scores, and they have human relations with lecturers and fellows for achieving scores.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1정 연수의 진행과정
Ⅲ. 1정 연수의 문화주제와 행위의 원리
Ⅳ. 논의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1급 정교사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