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이용수  2

영문명
Creativity as a higher Level of Learning in an American school
발행기관
한국교육인류학회
저자명
정향진
간행물 정보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241~26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7.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미국 교사들이 공유하는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정의는 무엇이며, 창의성을 계발하기 위해 교사들이 실제로 무엇을 어떻게 하는지를 살펴본다. 이 사례 연구는 미국 중서부의 한 도시에 위치한 공립 중학교에서 행한 민족지적 현지조사에 바탕을 두고, 미국 사회에서 "자아 표현"에 두는 문화적 가치가 창의성 교육의 중요한 토대가 됨을 보여준다. 자아의 창의적 표현은 개인주의의 문화심리에서 이상적으로 추구하는 사람됨, 즉 "개인"의 표식으로 간주되며, 미국 사회의 핵심적인 가치인 "선택"의 관념을 구현하는 주요한 장이다. 선택의 관념은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정의의 중심적 구성 요소였을 뿐 아니라 나아가서 교수 방법의 실제적 원리를 제공하였다. 이 글에서 다루는 미국의 사례는 창의성의 관념이 해당 사회의 다른 문화적 관념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창의성 교육 역시 그 문화에서 고유하게 발달하는 교수법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American cultural conception of creativity and the pedagogical practices of creativity development in an American junior high school, based on an ethnographic field study. American teachers consider creativity as a higher level of learning, of which self-expression is a principal form. In their views, self-expression is an affirmative sign of American personhood, embodying core American values such as "choice." Creativity also requires internal discipline, another critical constituent of personhood in American individualism. The conception of creativity shared by teachers and the way they undertook creativity education, thus, involved a contrast between freedom and discipline. Strongly believing that both freedom of choice and structure were necessary for creativity development, teachers took "structuring of choices" as the gist of their pedagogy of creativity. With the cultural value attributed to self-expression and creativity, the usual dichotomy between emotionality and rationality was no longer held.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Ⅱ. 창의성과 개인주의 인간관
Ⅲ. 고차원의 학습으로서의 창의성
Ⅳ. 선택의 구조화
V. 자아 표현
Ⅵ. 인지와 감정의 이분법을 넘어서
Ⅶ. 마무리 및 토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향진. (2005).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교육인류학연구, 8 (2), 241-267

MLA

정향진.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교육인류학연구, 8.2(2005): 241-2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