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n ethnographic case study of social studies teacher's ways of using textbook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박인옥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91~126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7.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고등학교『사회』수업을 중심으로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교과서 활용 방식은 수업 조직 단계에 따른 주요 상호작용과 이에 따른 교과서의 기능을 통해 추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고등학교의 한 사회과 교사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질적 자료는 수업에의 참여 관찰과 반구 조화된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과서 활용은 수업 조직의 단계에 따라 다양하게 기능을 하며 효율적인 수업 전략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관찰된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교사의 수업 행동은 학습가능성을 고려하는 '인식적 조정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며, 인식적 조정과정은 수업의 일상적 목표, 수업의 환경 그리고 교과서에 대한 교사 자신의 관점이 함께 조율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실 수업에서 교사의 '인식적 조정 과정'을 거쳐 형성된 것을 교사의 '일상 실천적 지식'이라고 명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과서 활용을 통한 일상적 최적화 수업 행동을 보다 정련화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과 관련된 '인식적 조정 과정'과 '일상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는 앞으로 사회과교육 연구에 있어서, 다른 교과와는 차별화되는 교수(teaching)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연구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으며, 사회과 교수에 대한 기본적 지식의 요소와 전문적인 기준을 개발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ocial studies teachers utilize the textbooks of the 7th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order to study the purpose, I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of a social studies teacher in a local high school. Qualitative data were gathered mainly by participant observation and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naturalistic methods. The concluding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observed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activities can be explained partly by the hypothesis of instructional optimization, called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The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means a pedagogical adjustment, based on the criterion of "possibility of learning," that the teacher make in considering lesson targets, instructional environment, and his subject matter viewpoint. This study maintains that such cognitive regulation process results in the teacher' "practical knowledge in everyday life". A result of this study refined the teacher's optimization behavior in teaching activity through utility of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ies the significance of the interplay among the textbook materials,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nd instructional environments, in understanding teaching and the desirable of teacher knowledge.
영문 초록
목차
I. 들어가며
Ⅱ. 연구 방법
Ⅲ. ‘사회’ 수업조직에서의 교과서 활용과 그 기능
Ⅳ. 교과서 활용에서 교사의 일상적 최적화 수업 행동
V.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1급 정교사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시나리오 기반 건강사정 실습 교육의 효과
- 장애인활동지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일의 의미가 조용한 사직에 미치는 영향
- 대학 합창 수업 맥락에서 SEL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