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n teaching and its implementing methods
- 발행기관
- 한국교육인류학회
- 저자명
- 이정선
- 간행물 정보
- 『교육인류학연구』제8권 제2호, 211~23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7.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천적 교수지식이 무엇이고, 교육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교수지식과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실천적 교수지식에 대한 가정이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 본 다음, 양자간 괴리를 극복하는 방법이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있다. 문헌연구 및 연구자의 사변적 사유에 기초하여 교사교육에 있어서 이론과 실제 간 괴리의 원인과 극복방법을 모색하였다. 양자간 괴리는 연구자들이 교수지식과 지식 획득 방법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고, 대학의 교육연구자들이 생성한 이론적 지식을 중시하는 대신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실천적 지식을 경시한 결과이자, 연구에서 교사를 제외한 결과이다. 그리고 연구 과정에서 교사의 일과 삶과 같은 주제가 다루어지지 않은 탓이기도 하고 연구방법이 실증주의 패러다임에 치중한 결과이다. 극복방법과 관련하여 연구패러다임을 해석적 관점으로 전환해야 하며 교육연구 집단에 교육실천가를 포함시켜야 하고 교육문제를 이론적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실천적 관점에서도 연구해야 한다. 교사의 관점과 보다 더 일치하는 방법으로 탐구방법을 개발하거나, 교사가 연구자가 되어 교수에 대한 지식을 생성하는 일에 직접 동참하게 해야 한다. 교사의 목소리를 지원하고 생애사 연구를 통하여 자기 성찰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teacher education is teachers' knowledge and learning to tea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 of practical knowledge on teaching, the different assumptions on teaching knowledge between researchers and teachers, and to articulate the methods of decreasing the gaps betwee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practical reason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 that th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teacher education are the result of researchers' negation on the differences of teachers' knowledge and it's acquisition method. It is also the result of neglect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teachers whilest emphasis on theoretical knowledge of researchers. Since teachers in the schools are hardly involve in the process of creation of practical knowledge, the teachers' works and life experiences cannot be explored properly in the academic world. And since the positivistic research paradigms were prevailed in the educational researches, it was impossible to be handle the micro world of teachers' life experience. Thus, in order to decrease the gap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t is suggested to transit the research paradigm to interpretive approach and to include educational practitioner in research activities.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educational problems not only in the theoretical perspective but also in the practical frame of references. In order to focus more on practical knowledge, it is a sine qua none either to develop the inquiry suitable for teachers' perspective or to make teacher as a researcher involve in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Since those implementations give teachers opportunities of self-reflection, support for teachers' voice and research on life history of teachers are necessary.
영문 초록
목차
I. 서론
Ⅱ. 교사지식 및 실천적 교수지식
Ⅲ. 실천적 교수지식의 형성방안
Ⅳ.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의 교육인류학적 재해석: 산들초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1급 정교사 자격연수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 Autobiography: Guilt, self-censorship, and commitment to being a curriculum professor in Korea
- 교사의 실천적 교수지식 및 형성방안
- 초등학교 아동이 접하는 기술환경의 의미와 교사, 학부모의 역할 기대
- 공립유치원교사의 직무에 대한 이해
- 창의성에 대한 문화적 관념과 교육의 실제: 미국 중학교의 사례
- 초등 수업의 도덕적 성질 분석: 교사-학생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사회과 교사의 교과서 활용 방식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대학에서 교양 법학 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예비유아교사의 개정 누리과정 기반 수업설계 경험과 배움 의미 탐색
-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학생의 사회정서역량의유형 분류 및 영향요인 탐색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