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이용수 4
-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 of Children's Gend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노정수 성지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285~3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성별, 실행기능과 유아-교사 관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사 관계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혹은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성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만 4세 유아 94명(남:49명, 여:45명)과 담임교사가 연구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사 관계를 담임교사가 평정하였다. 자료분석은 성별, 실행기능, 유아-교사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성차를 살피기위해 독립t-검증,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사 관계에서의 성별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행기능의 하위요인의 평균중심화를 실시한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별, 실행기능, 유아-교사 관계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유아의 성별에 따라 유아의 실행기능과 유아-교사 관계에 차이가 있으며,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중 작업기억은 유아의 성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교사 관계가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유아의 성별이 작지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ssociation among a child's gender, executive function,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quality and to verify whether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differ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or whether the child’s gender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variables. Study participants were 94 4-year-old children (male: 49, female: 45) and their teache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well. Executive function and student-teacher quality were measured using BRIEF and STRS by teachers completing questionnaires. Correlat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associations;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for gender differenc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a child's gend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executive function sub-factors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fter the mean centering of the sub-factors of the executive function. As a result, the relationships between gender,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 variables were identified,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xecutive function of the child and student-teacher relationship quality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and the working memory among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ild's gender.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 child’s gender has a small bu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 of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on the child’s executive fun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