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Images of Subversion in Anthony Browne's 『Gorilla』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현은자 이지운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Anthony Browne의 『고릴라』는 포스트모던 그림책의 대표 격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의 작품이 보여주는 포스트모던 텍스트의 특징인 불확정성, 패러디, 상호텍스트성, 자기참조성, 다성성, 열린 결말 등은 주로 글과 그림의 양태(modality)의 불일치에 기인한다. 특히 그림 이미지의 시각적 암시(visual allusion)는 그 복잡성과 의미의 다층성으로 인해 해석의 어려움을 증폭시킨다. 본 논의는『고릴라』의 시각적 암시가 의도하는 바를 ‘전복’(subversion)으로 요약하였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해 다음의 네 개의 주제를 살펴보았다. 첫째, 예술작품의 패러디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둘째, 유명인의 시각적 암시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셋째, 프리메이슨 상징의 이미지가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넷째, 고릴라와 한나의 심야 외출이 함축하는 것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결론은 어린이가 읽는 그림책 텍스트를 평론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가의 의도를 발견하려는 해석학적 태도가 평론가의 윤리적 책무와 관련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Anthony Browne’s 『Gorilla』 has been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postmodern picture book. The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ty in his work such as uncertainty, parody, intertextuality, selfreferentiality, polyphony, and open ending are results of the modality of texts and images. The visual allusions of images, especially, amplify the difficulty of interpretation due to their complexity and multi-layered meanings. This study paraphrased the intents of visual allusions in 『Gorilla』 as a form of subversion.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four themes were analyzed. The four themes in this study were the following: the parody of famous art works, the visual allusion of celebrities, the image of the freemason, and, Gorilla and Hannah’s late-night dat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suggests that when criticizing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 hermeneutic attitude to discover an author’s intentions is related to the critic’s ethical aspect.
목차
Ⅰ. 서론
Ⅱ. <모나리자>와 <어머니>의 이미지
Ⅲ. Che Guevara와 Charlie Chaplin의 이미지
Ⅳ. 프리메이슨의 상징
Ⅴ. 고릴라와 한나의 심야 데이트
Ⅵ.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