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이용수 31
- 영문명
- A Comparison of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민가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과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대상은 총 32명(실험집단 16명, 비교집단 16명)이었으며 평균월령은 75.53개월(SD=2.70)이었다. 실험집단에는 스토리텔링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비교집단에는 운동에 기반한 동작교육활동을 4주간 처치하였다. ‘MPTYC’, ‘K-WIPPSI-Ⅳ’, ‘BPI’, ‘갈등해결능력’ 검사도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t-검증을 통해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인지능력, 정서능력 그리고 갈등해결능력이 유의미하게 증진한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유아의 운동능력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하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유아 동작활동을 위한 교육적 실천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between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and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on young children's motor,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The subjects used in this study were thirty-two young children who attended kindergarten, and their average age was 75.53(SD=2.70)month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storytelling, while the comparison group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education activity based on exercise for 4 weeks. ‘MPTYC’, ‘K-WIPPSI-Ⅳ’, ‘BPI’ and a ‘conflict resolution ability test’ were used to collect data and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for the children's cognitive, emotional and conflict resolution abil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ison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in motor ability. This study shows implications about teaching-learning strategies for movement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2호 목차
- 보육시설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유아교사를 위한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