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이용수 2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nges in Teachers during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for Activating Basic Exercise-Oriented Physical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안 김은심 문선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41~16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 대상의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협력적 실행과정 및 그에 따른 교사변화를 탐색하여 만 5세 유아신체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 18명과 담임교사, 연구자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고 2019년 8월부터 12월까지 약 4개월간 협력적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그 과정에서 참여관찰을 통한 관찰일지, 수업 전사자료, 유아 활동자료, 연구자 일지, 교사저널, 유아 및 교사 면담자료 등의 자료가 수집되고 분석되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협력적 실행과정에서 문제인식단계를 통해 신체활동의 문제점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1, 2차 실행 및 평가를 순환적으로 진행하였다. 둘째, 협력적 실행과정을 통해 교사는 교과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혀 보다 유아 중심의 교수방법을 시도할 수 있었으며 신체활동을 비롯한 교육과정 운영에 주도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본운동중심 활성화를 위한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방법으로 교사와 전문가 간 긴밀한 협력과정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cooperative execution process to activate basic exercise-oriented phy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5-years old and to explore the changes in teachers accordingly to suggest ways to activate physical activities for children 5-years old. To this end, 18 subjects consisting of five-year-olds, homeroom teachers, researchers, and infant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 collaborative implementation study was conducted for about 4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2019.
During the process, data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company-wide data, children's activity data, researcher's journal, teacher's journal, and interview data for infants and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problems of physical activity were derived through the problem recognition stage in the cooperative execution process, and based on this, the first and second executions and evaluations were cyclically conducted. Second, through the cooperative execution process, teachers were able to broaden their horizons of understanding about the subject, try more infant-centered teaching methods, and form a leading attitude in the management of curriculum including physical activ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the importance of a close cooperation process between teachers and experts as a more effective and practical method for vitalizing the basic movement cente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