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이용수 13
- 영문명
- Awarenes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Play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경 김지영 이옥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239~26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안정적인 현장 정착을 지원하기 위해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총 20명(예비유아교사 10명, 현직유아교사 10명)을 심층면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실행에서 중요성이 강조되는 관찰, 영유아의 놀이 흐름을 따라가는 공간구성과 자료제공, 신중해지는 교사의 놀이참여 변화를 경험하였다. 둘째, 놀이실행에서 해야 하지만 혼란스러운 놀이중심 교육과정과 교사성장통의 어려움을 경험하였다. 셋째, 놀이실행을 위해 교육 연수와 교사 간 소통과 협력을 통한 교사 역량 강화, 재정적 지원, 인적 지원, 인식 전환의 외부 지원에 대한 요구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 양성과정의 교육과정과 현직유아교사를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고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lay practice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upport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For the study, a total of 20(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10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xperienced the observation that importance was emphasized in play practice, the space composition and material provision that followed the flow of play of young children, and the changes in the teachers’ participation in play became more cautious. Second, in play practice, they experienced the play-centered curriculum that they must do but were confused and the teachers’ growth pain to practice play-centered curriculum. Third, for play practice, there was the demand for external support such as strengthening teacher capacity through educational training and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eachers, financial support, human support, and awareness chan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a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courses and support plans for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r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play-center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