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이용수 4
- 영문명
- The Experience Proces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eaning in the Mental Health Theory Subject Applied with PBL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경진 조은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2권 제1호, 115~14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 운영의 의미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4년제 유아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중인 예비유아교사 25명과 교수자 및 인적자원 3명이다. PBL의 과정으로서 팀별로 2단계 딜레마에 대해 해결안을 도출하였고, 발표 및 평가가 이루어졌다. 자료의 수집은 녹음 및 녹화와 서면자료 수집, 현장노트 기록으로 4개월 간 이루어졌다. 예비유아교사를 대상 PBL적용 정신건강론 과목 실행의 의미로서 3개의 범주와 6개의 하위 범주가 분석되었다. ‘영유아 정신건강에 대한 진지한 탐구’ 범주로서 ‘영유아의 입장에 대해 깊이 공감하기’와 ‘정신건강 지식을 적극적으로 탐구하기’가 도출되었다. ‘영유아 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양육자 및 가정연계 공감대 형성’으로는 ‘영유아의 양육자와 양육환경에 대한 이해하기’와 ‘영유아정신건강 지원을 위한 가정과 기관 연계의 중요성 재인식하기’가 도출되었다. ‘교사로서 직면할 수 있는 정신건강 문제해결에 대한 실천적 자신감 형성’으로 ‘예비유아교사로서 자신의 정신건강 바라보기’와 ‘조원과 함께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영유아의 정신건강 문제 해결에 대한 자신감 다지기’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operating mental health theory subjects with PBL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25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ree professors and 3 human resources. As a process of PBL, teams drew up solutions to a two-stage dilemma, and presentations and evaluations were made. The collection of data took place over four months by taking recordings and collecting written data and field notes. Three categories and six subcategories were analyzed as the meaning of implementing the subject of PBL-applied mental health theory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category of “Serious exploration of children’s mental health,” “Deeply empathy for children's mind” and “Actively exploring mental health knowledge” were derived. As a category of “The creation of a consensus on parenting and family connections for children’s mental health support,” “Understanding parents and the parenting environment of children” and “re-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home and institutional linkage for children’s mental health support” were derived. As “building practical confidence in solving mental health problems that can be faced as teachers, “looking at one's mental health as a prospectiv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and “building confidence in solving mental health problems for children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with the group” were deriv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교사 관계와 유아의 실행기능: 성별의 조절효과
- 그림책에 나타난 집의 공간적 의미 탐색 - 국내 그림책을 중심으로 -
- PBL을 적용한 정신건강론 과목에서 예비유아교사의 경험 과정과 의미 탐색
- 스토리텔링 기반 동작교육활동과 운동 기반 동작교육활동이 유아의 운동능력, 인지능력, 정서능력, 갈등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의 연구 동향 분석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동물권과 동물복지
- 레오 리오니의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예술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어머니-유아 문해 상호작용이 유아의 출현적 문해 능력과 공감능력에 미치는 영향
- Anthony Browne의 『고릴라』에 그려진 전복(subversion)의 이미지
- 기본운동중심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탐색
- 어머니의 영아에 대한 애착, 양육스트레스, 놀이성이 어머니의 양육역량에 미치는 영향
-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놀이실행에 대한 인식
- 온라인 커뮤니티 익명게시판에 나타난 어머니들의 일상적 경험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종주의 그림책에서 나타난 타자와 환대윤리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