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그림책에 제시된 비현실적 공포와 대처 방식 연구
이용수 4
- 영문명
- Study on the Unrealistic Fear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in Children's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이나 김민진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101~12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그림책에 비현실적 공포가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그리고 공포에 대처하는 방식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창작 그림책 75권을 선정하였으며 분석범주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비현실적 공포는 실재적 요인이 초자연적 요인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어둠, 그림자, 괴물, 낯설고 어려운 상황, 사물을 통해 제시되는 비현실적 공포가 확인되었다. 유아 그림책에 나타난 비현실적 공포에 대한 대처 방식은 스스로 극복하는 방식이 주로 제시되었으며 구체적으로 주인공 스스로 해결책을 마련하여 극복하기,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원받기, 공포 상황이나 대상을 회피하기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 그림책에서 비현실적 공포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유아가 비현실적 공포를 극복하도록 돕는 매체로써 그림책을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unrealistic fears and their coping strategies are featur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For this purpose, 75 created picture books were sampled for categorical analysi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sources of the unrealistic fears show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s were concrete rather than abstract: darkness, shadows, monsters, strange and difficult situations, and other unrealistic objects of fear. The major way of coping with these unrealistic fears shown in the children’s picture books was to get over the fears by themselves. Specifically, the children were encouraged to find solutions by themselves, get support from the people around them, and avoid the situation or object.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ed how unrealistic fears are featured in children’s picture books. Furthermore, it provides basic data to guide early education teachers help children get over the unrealistic fears presented in picture book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
- 그림책을 활용한 실외놀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 유아 그림책에 제시된 비현실적 공포와 대처 방식 연구
-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과 비교하여 -
- 시그림책에서 내포독자의 구성 양상 고찰
- 교류통합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수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대상 수업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