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이용수 4
- 영문명
- A Study on Toddlers' Responses to a Puppetry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장선혜 박선희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127~16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세반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 영아의 반응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6권을 선정하고,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을 구성하였다. 구성된 활동을 G시에 소재하는 N어린이집 2세반 영아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활동 중에 나타난 반응을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영아의 반응은 첫째, 이야기 속 옛말의 발화, 이야기 줄거리의 재현 등의 ‘전래동화 인형극의 표현’, 둘째, 천연소재 인형에 대한 애착, 동적이고 특징적 모습의 인형에 대한 감각적 탐색, 자연물 소품에 대한 호기심의 표현 등의 ‘천연소재 인형과 특징적 소품에 대한 호감의 표현’, 셋째, 또래 모방하기, 소유권에 대한 강한 주장, 또래의 정서전환 시도 등의 ‘또래관계에서 모방과 정서표출 및 정서 전환 시도’, 넷째, 인형의 특성에 따른 목소리 표현, 일상적 경험이 통합된 인형극 놀이의 즉흥성과 빠른 전환 등의 ‘전래동화 인형극 놀이에서 파생된 독창적인 놀이’, 다섯째, ‘가족 구성원의 이미지 표현’ 등이다. 연구결과는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의 활용가능성을 시사하고, 2세 영아를 위한 전래동화 인형극의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sponses of two-year-old toddlers to a puppetry with traditional fairy tal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 two-year-old toddlers attending a N child care center in G city. The puppetry activities with 6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implemented three times a week for total of 18 sessions to study toddlers’ responses to puppetry. Each session of the puppetry activities was recorded for audio and video data. The transcripts from the video recording, the reflective journal of the researcher recorded daily, and the on-site observation record were used as data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toddlers’ responses to the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activities were ‘representation of the puppet play’, ‘expression of good feelings toward the pupp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and characteristic props’, ‘imitation and attempt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shifting in peer relations’, ‘unique representations derived from traditional fairy tale puppetry activities', and ‘expression of images of family members’. The study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have more interest in puppetry activities that sustain play with peers and make efforts to incorporate them in daily activ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
- 그림책을 활용한 실외놀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 유아 그림책에 제시된 비현실적 공포와 대처 방식 연구
-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과 비교하여 -
- 시그림책에서 내포독자의 구성 양상 고찰
- 교류통합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수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대상 수업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