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
이용수 2
- 영문명
- Children's Play Represented in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신미성 현은자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163~19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를 살펴보기 위해 아동의 놀이를 유발시키는 요인, 놀이의 양상, 놀이를 종결시키는 요인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아동의 놀이가 그려진 창작 그림책 172종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물리적 요인으로 인해 놀이가 시작되는 모습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그중에서도 놀고 싶은 놀이소재로 인해 놀이가 유발된 모습이 가장 많이 그려졌다. 둘째, 실외보다 실내에서 놀이하고 있는 모습이 더 많이 나타났으며, 특히 ‘집 안’에서의 놀이가 가장 많이 그려졌다. 셋째, 놀이 대상 없이 혼자 놀이하고 있는 모습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놀이 유형 중에는 가장놀이(pretend play)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가장 자주 그려진 것은 상상놀이였다. 다섯째, 아동의 놀이상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성인의 역할은 놀이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비참여자 역할이었다. 여섯째, 놀이의 종결 요인은 주로 개인적인 것이었으며, 그중에서도 놀이에 충분한 만족감을 느낀 후 아동 스스로 놀이를 종결하는 모습이 가장 많이 그려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인이 놀이 그림책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고 긍정적인 성인의 역할에 관심을 기울일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duce play, the aspect of play, and the factors that terminate the play to observe the children's play in the picture book. For this purpose, 172 picture books with the children’s play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factors to motivate children’s play in the picture books, the children’s play was most frequently caused by the physical factors. Among them, it was the case that the play started due to the fascinating material. Second, the children's play space in the picture books appeared indoors more than outdoors and ‘play in the house' was the most common. Third, as for children’s play playmates, scenes of children playing alone without playmates were most frequently found in the picture books. Fourth, for the types of play in the picture books, the pretend play was the most common. Particularly, the imaginative play was the most common. Fifth, the most role of adults in children's play situation was the non-participant role that did not pay attention to children's play. Sixth, the most common factors that terminated the children's play in the picture books were the personal factors. Among them, it was shown that the children completed the play by themselves after the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the pla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dults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picture books reflecting play and pay attention to the positive role of adul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
- 그림책을 활용한 실외놀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 유아 그림책에 제시된 비현실적 공포와 대처 방식 연구
-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과 비교하여 -
- 시그림책에서 내포독자의 구성 양상 고찰
- 교류통합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수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대상 수업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