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이용수  4

영문명
Effects of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a Collaborative Response-Centered Model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명숙 유구종 최승연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263~293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감상프로그램이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비언어적 표현능력, 가상적 내러티브, 감상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고자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은 국내․외 문헌고찰 및 분석, 현장교사의 인식과 현황조사 분석 및 예비시안구성, 두 차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전문가 적합성 검증 등의 절차를 통해 개발되고 타당화 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해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결과 첫째,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은 유아의 언어표현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은 유아의 비언어적 표현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라 유아의 가상적 내러티브 구조발달수준은 회기가 지날수록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상적 내러티브 구성요소 변화양상은 실험집단에서 1회기에는 증가하였다가 2회기에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가상적 내러티브 논리적 응집장치 접속사의 경우 실험집단에서 1회기에 감소하였다가 2회기에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대용적 참조는 회기가 지날수록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협동적 반응중심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은 유아의 미술 감상능력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based on the collaborative reaction–centered model.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0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Y kindergarten for 12 weeks. We analyzed the language expressive ability, nonverbal expressive ability, cognitive narrative, and auditory ability. As a result First,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collaborative response–centered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young children's language expression ability. Second,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cooperative reaction-centered model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nonverbal expressive power of young children. Third,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the collaborative reaction-centered model showe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art appreci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Fourth,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young children's art appreciation program based on the collaborative reaction–centered model on the virtual narrative of the young children showed that the level of structural development gradually increased as the session progressed. The change patterns of the virtual narrative components were increased in the first session and decreased in the second s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the virtual narrative logical cohesion device of the young children after the art appreciation program, the aspect of the change of the reference and the substitutional reference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he first experi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arge reference increases with the sess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숙,유구종,최승연. (2019).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 (4), 263-293

MLA

김명숙,유구종,최승연.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0.4(2019): 263-2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