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대상 수업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이용수 0
- 영문명
-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eschool Class Teaching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혜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20권 제4호, 215~24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대상 수업을 처음으로 경험하는 예비유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현장에 첫 발을 디딜 교사들에게 양성기관 교육자들이 지원할 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교육봉사활동 교과목을 수강하는 2학년 14명이다. 팀당 3~4명으로 구성된 4팀의 학생들은 유치원에서 미술활동 4가지를 1, 2코스로 진행하여 8회의 수업을 경험하였다. 연구자는 수업 후 당일에 각 팀별로 수업경험에 대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집 자료는 4팀이 4회의 인터뷰를 한 16회의 인터뷰 전사본과 예비교사 저널이다. 자료 분석 결과 예비교사들의 반성적 사고는 세 가지 범주로 나눌 수 있었다. 첫째, 수업의 실제 이해하기에서는 수업계획과 자료의 중요성 인식, 계획에서 흐름으로 수업하기, 예측하기 어려운 유아와의 상호작용을 경험을 나타내었다. 둘째, 유아 알아가기에서는 유아의 발달적 수준 인식하기, 유아에게 맞추려 노력하기를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교사되어가기에서는 실천과 반성으로 터득해가기, 보람과 한계 인식하기, 동료로부터 배우기를 경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reflective think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first experienced early childhood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upport of educators at training institutions for their first step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4 second grade students taking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Four teams with three to four students per team experienced eight lessons in one and two courses with four art activities in kindergarten. The researcher interviewed each team about their experiences on the day after class. Collected data were transcribed copies of the 16 interviews with four interviews per team and the journals of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reflective thoughts of pre-service teachers could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For the actual understanding of the class, it was classified into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he lesson plan and the materials, the lessons from the plan, and the interaction with the children, which is difficult to predict. Getting to know the infants meant teachers recognized their developmental level and tried to fit them. Teachers need to learn how to practice self-reflection, recognize rewards and limitations, and learn from pe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창작 그림책에 나타난 아동의 놀이
- 그림책을 활용한 실외놀이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만 2세 영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전래동화 인형극 활동에서 나타난 2세반 영아의 반응 탐색
- 유아 그림책에 제시된 비현실적 공포와 대처 방식 연구
- 2015 개정 초등교육과정 1, 2학년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에 나타난 성 역할 분석 -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수록 그림책과 비교하여 -
- 시그림책에서 내포독자의 구성 양상 고찰
- 교류통합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일반 유아의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교수양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협동적 반응중심 모형에 기초한 유아미술 감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 예비유아교사의 유아대상 수업경험에 대한 반성적 사고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