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아전담어린이집 어머니와 교사의 아동학대사례에 대한 인식 차이
이용수 5
- 영문명
-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about Child Abuse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at Infant Day-care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혜 김숙령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63~1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아동학대 사례에 기초하여 영아전담 어린이집 어머니와 교사간의 인식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두 대상 간 공감과 이해의 폭을 넓히는 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영아의 어머니 3명과 영아반 담임교사 3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이 이루어졌으며 분석 결과, 영아의 어머니와 교사는 학대 인정, 상황 이해, 원인 탐색, 해결과 예방 등의 사례 탐구 과정에서 인식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어머니들은 주로 교사 자질 문제를 언급하였고, 교사들은 교사 자질을 비롯하여 부모 자질, 보육 상황, 아동 특성 등의 다양한 문제를 언급하였다. 이러한 어머니와 교사간의 이해 차이를 좁히기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어머니와 교사 모두 영아의 적응을 돕는 데 우선 집중하고, 둘째, 어머니는 교사를 존중하고 교사는 존중받을 자격을 갖추며, 셋째, 어머니는 단체 생활이라는 한 학급의 운영상황을 이해해주려 노력하고, 넷째, 교사는 상황에 대한 과정 변명보다는 결과를 중시하는 입장을, 어머니는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입장을 가져야 함을 제안하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data so to increase the empathy and understanding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of day-care centers by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their perceptions based on cases of child abuse. We gave in depth interviews to three infant mothers and their teachers,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regarding abuse recognition, including situation understanding, causality, and the ways of solving and preventing child abuse. Mothers mainly spoke about the teachers’ qualities, and the teachers spoke the parents’ qualities, situation of childcare, and children’s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teachers’ qualities. Four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 First, both mothers and teac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eir children to be more adaptable to the class environment. Second, teachers and mothers have to respect each other and teachers should be well qualified to be respected. Third, mothers should try to understand the class environment where group activities are common. Forth, teachers should be more interested in the results than the processes in some situations, whereas mothers should consider the processes as being more important than the resul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어린이집의 개인정보보호 수준
- 영아전담어린이집 어머니와 교사의 아동학대사례에 대한 인식 차이
-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 4세반 인성교육을 위한 버디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의 교사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 색동유치원 급식시간에 나타나는 3세 유아의 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