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5
- 영문명
- The Effects of Performance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현정 신수경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53~28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적 효과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G시 광산구에 위치한 N대학교 부설유치원 만 5세반의 두 학급에 있는 유아 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두 학급 중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2017년 6월 19일부터 8월 31일까지 총 11주간이 소요되었으며, 본 연구를 위한 실험처치는 8주 동안 실험집단에게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비교집단에게는 그리기, 꾸미기, 만들기 등 일반적인 미술활동을 총각각 총 16회 걸쳐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t-검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퍼포먼스 미술활동의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학습 방법의 기초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formance art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interaction.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First, what effects do performance art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Second, what effects do performance art activities have on young children’s social interaction?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children in W kindergarten at N University in G Cit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1 weeks from June 19 to August 31, 2017. Whe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First, performance art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young children’s development of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experienced performance art activitie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social interaction. This suggests that performance art activities, which has been used mostly as a teaching model for engineering departments, may be applicable as a new teaching model in Art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어린이집의 개인정보보호 수준
- 영아전담어린이집 어머니와 교사의 아동학대사례에 대한 인식 차이
-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 4세반 인성교육을 위한 버디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의 교사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 색동유치원 급식시간에 나타나는 3세 유아의 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