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
- 영문명
- The Effects of the Creative Drama with Picture Books on Peer Interaction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원 권민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2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 활동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과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특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한 M유치원 만 5세 유아 총 40명으로 각 20명으로 구성된 2개의 학급을 실험,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그림책 감상후 이야기나누기와 연극놀이 활동을 10주 동안 총 20회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은 그림책 감상 후 이야기나누기만 10주간 20회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 분석(ANCOVA)을 하였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특성은 면담자료, 동영상 자료, 사진자료에 의하여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를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 행동 점수 전체와 하위영역인 언어적 상호작용과 비언어적 상호작용 행동 점수 모두 통제집단의 유아의 점수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 활동 과정에서 유아들은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으로 적극적으로 또래 지지하기, 즉흥적으로 이야기 만들기, 다양한 문제 해결방안 찾기가 나타났다. 비언어적 상호작용 특성으로 끊임없이 웃으며 또래동작 따라하기, 또래에게 도움 주며 놀이 유지하기, 눈빛을 교환하며 또래와 협력하기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교육 현장에서 또래 상호작용 증진을 위해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의미 있는 교수 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reative drama with picture books on peer interactions. The participants were forty five-year old children of D kindergarten in G city, Korea, of which 20 childr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 group and 20 to the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 group experienced creative drama after reading picture books for ten weeks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0 times. The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read and discussed the picture books for the same period. The peer interactions were measured by Eom(2006)'s scale for pre-test and post-test. The data were analyzed by covariance analysis(ANCOVA)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PASW 18.0.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er interaction during the creative drama were analyzed by the observation journal and video record transcripts.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s of the peer interaction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cores in the control group. The verbal and non-verbal interaction scores of the peer interactions in the experiment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er interactions showed various verbal and non-verbal behaviors.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reative drama with picture books can be used as a meaningful teaching method to promote peer interac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 보육교사의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인식 및 어린이집의 개인정보보호 수준
- 영아전담어린이집 어머니와 교사의 아동학대사례에 대한 인식 차이
- 그림책을 활용한 연극놀이가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을 활용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적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 만 4세반 인성교육을 위한 버디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의 교사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 아동도서 서평 분석 연구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추천도서를 중심으로
- 색동유치원 급식시간에 나타나는 3세 유아의 편식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 퍼포먼스 미술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통제 및 자기관리의 매개효과
-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