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Forest-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 to Improve the Stress Coping Competence and Happiness of Preschoolers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강경신 김민화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225~25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보다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의 어린이집에 재원하고 있는 59명의 만 5세 유아들이었다. 이들은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20명과 숲체험형 어린이 집에 다니는 통제집단 1의 20명, 그리고 숲체험활동의 경험이 적은 통제집단 2의 19명으로 구성되었다. 세 집단 모두에게 사전·사후검사로서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은 통제집단 2에 비해 유의하게 상승되었다. 그러나 통제집단1과 비교했을 때 전체평균은 실험집단이 더 높은 점수를 얻었지만 스트레스에 대한 수동적 대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신비적 대처의 경우 통제집단 1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통제집단 2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행복감 하위척도에서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1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생활만족도 하위척도에서는 통제집단 1의 유아가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그 효과가 드러나기에는 상대적으로 긴 시간을 요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한두 개의 하위요인을 제외하면,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장기간의 숲체험형 활동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것과 유사한 수준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을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ffective program to promote stress coping competence and happiness of preschoolers an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9 preschoolers in three different groups, 20 preschoolers in experimental group, 20 preschoolers in control group 1, and 19 preschoolers in control group 2, who were enrolled in A, B and C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d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were the groups with little opportunity to access the forest activities in their daily program. On the other hand, control group 1 was the group from an experimental forest specialized child care center which does forest activities once a week.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had the “Forest-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 and all three groups were examined for infant stress coping competence and happiness scales to evaluate the program effects. As a result, the stress coping competence and happi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control groups. However, for some of the sub-scale sco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2.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in the "Forest-Integrated Arts Therapy Program" was effective in promoting stress coping competence and the happiness of preschoolers through lone-term experience activities, even when it is a short-term program. I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is program can be used in various educational settings for preschool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경신,김민화. (2018).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1), 225-251

MLA

강경신,김민화. "유아의 스트레스대처능력과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숲-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 효과연구."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1(2018): 225-25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