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이용수  5

영문명
Analysis of the Requirement for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Ethical Consumption Practice Education Program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하선혜 서현아 김산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83~20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3.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에 대한 그들의 인식과 실천 정도 및 교육적 요구내용을 분석하여 지속가능발전교육의 일환으로써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부산시에 소재한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학생 6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조대연(2009)의 요구도 및 우선순위 분석 단계에 따른 Borich 교육요구도 분석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은 인식의 정도가 높을수록 더 많이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적 요구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소비행동의 하위영역인 윤리적 상거래, 긍정적 구매, 지속가능한 소비, 로컬소비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교육적 요구내용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법으로써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행동 향상을 위해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인식을 증진시켜줄 수 있는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consumption practical education program as part of sustainable development education by analyzing pre-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level of practice and requirement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For the study, 620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department and were in their 3 and 4 year at universities in Busan were surveyed from April to May 2016.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higher perception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pre-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based on he results of examining the needs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development of an ethical consumption practical education program, ethical commerce, positive purchasing, sustainable consumption and local consumption which are sub-area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re considered as priority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s a method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 direction of education that can enhance the awareness of ethical consumption is required to improve th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f pre-early childhoo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선혜,서현아,김산아. (2018).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 (1), 183-204

MLA

하선혜,서현아,김산아. "예비유아교사의 윤리적 소비 실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분석."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9.1(2018): 183-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