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
이용수 5
-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based on Peer Status in a Mixed-age Classroom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선희 김희태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335~35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유아들의 또래관계 특성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4, 5세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유아 21명을 대상으로 약 5개월 동안 자유선택활동의 놀이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인기아는 인기아 주변을 맴도는 추종자인 유아가 있고 이들을 관리하며 또래집단을 형성하기도 하고 놀이할 때 팀을 구성해 리더 역할을 하고 리더의 권력을 행사하였다. 보통아는 연령과 성별에 관계 없이 연령이 어린 유아, 여아와의 놀이에서 협조적인 모습을 보였고 놀이를 확장하고 또래에게 맞추는 조절의 역할을 하였다. 무시아는 관심 있는 유아 주변을 맴돌지만 또래로부터 자주 무시되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무시아도 우정관계의 유아와는 평등한 관계를 맺으며 수용되는 긍정적인 모습이 있었다. 거부아는 혼자놀이가 자주 관찰되었고 또래들은 놀이를 매개로 거부아에게 권력을 행사하는 관계가 나타나기도 하였다. 양면아는 모든 유아들에게 개방적인 태도로 관심과 반응을 보였지만 한편으로 독단적인 놀이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본 연구의 유아들에게서 나타난 이러한 모습들로 인해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을 이해할 수 있으며, 또래지위에 따른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hip based on young children’s peer status in a mixed-age classroom. 21 4- or 5-year-old children had been observed for 5 months in a naturalistic settings of A child care center in southern east area in Korea. This study showed following results. Popular children had friends around them managing their followers, creating teams when playing with peers, serving a leader to form and lead peer group, and showing power as a leader. Average children were cooperative in playing with peers who were younger than them or cooperative in playing with peers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and had a role of expanding the scope of play by keeping up with their friends. Ignored children in this study were around peers they were interested in but frequently ignored by peers when playing with them. However, ignored children maintained the equal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expressed positive aspect to accept friends. Refused children frequently played alone and controversial children showed their interest to all children with open attitude and also played peers with a peremptory mann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I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 및 운영 실태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 읽기전략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 장애유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특수교육 초등 1-2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장자』에 나타난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유아그림책 『우리 할아버지』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 : 텍스트 기호학을 중심으로
-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 영아교사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Metaphor) 분석
-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그림책 속 할아버지의 의미 분석
- 그림책의 글 텍스트 유무에 따른 4, 5세 유아의 읽기 반응 연구 -Mark Janssen의「Island」작품을 중심으로-
- 대화식 그림책 읽기를 통한 엄마와 만 2세 영아의 상호작용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