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 및 운영 실태
이용수 7
- 영문명
-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the seven standard school safety education guidelines for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진 권윤지 이연선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311~33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과 운영 실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유치원 교사 25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7대 표준안’에 대한 영역별 인식을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유아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나 직업안전영역이 타 영역에 비해 어렵다고 느끼고 있었다. 교수실행자로는 담임교사가 일상과 좀 더 가까운 영역인 생활안전과 폭력예방 및 신변보호를 교육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여기는 편이었고, 나머지 영역은 외부 안전교육 전문강사에 의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7대 표준안’에 따른 영역별 운영 실태를 살펴본 결과, 주로 멀티미디어를 활용하는 시청각 교육을 통한 안전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편이었다. 모든 안전교육 영역에 대해 교사가 교육하고 있는 경우가 많고, 외부 전문강사에 의한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유치원 교사들의 인식과 실제 운영 등에 대한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되어 향후 유아 안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영문 초록
Due to the recent increase of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outh Korea made an official announcement about the "Seven Standard School Safety Education Guidelines" as a systematic school safety support system. However, there are other concerns about applying these guidelines in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255 early childhood teacher's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these guidelines. For that purpos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that contains 35 questions asking about teachers’ awareness and application of the guidelines. First, teachers seemed to know the difference between the guidelines and prior safety education. Teachers problematized the age-appropriateness of job safety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difficulty in dealing with all seven safety areas. Second, teachers acknowledged that the guidelines are helpful. However, with regards to pedagogy, instructional media from the internet seemed to be used more frequently than other resourcess. They proposed the use of professional safety education organizations or institutes within their commun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think and come up with better approaches for teaching the seven standard safety education guidelines by listening to the challenges teachers actually had to challenges that they actually deal with in the kindergarten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 및 운영 실태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 읽기전략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 장애유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특수교육 초등 1-2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장자』에 나타난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유아그림책 『우리 할아버지』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 : 텍스트 기호학을 중심으로
-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 영아교사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Metaphor) 분석
-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