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
- 영문명
- The Effect of Creative Problem-solving Process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 upon Child's Self-conception and Perspective Taking 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김무련 김수향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107~13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P시에 소재한 W어린이집의 만 5세 2학급의 유아 40명(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은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을 비교집단은 생활주제 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누리과정 활동을 2015년 11월 16일부터 2016년 2월 5일까지 16회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아개념 검사도구는 임춘금(1995)이 Bentley와 Yeatts(1974)의 자아개념 검사를 번역·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검사 도구는 신현옥(1995)이 Hudson, Forman과 Brion(1982)의 도구를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본 연구 결과 첫째,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은 유아의 자아개념과 자아개념 하위요인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은 유아의 조망수용능력과 조망수용능력 하위요인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으로 나타났다.결론적으로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은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능력 증진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personality picture book upon child's self-conception and perspective-taking ability. The subjects this study included forty 5-year-old children in 2 classes at the W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P city. Experimental group(20) carryied out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using a picture book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The comparative group(20) did carried out the general activity using a picture book related to a life theme. The instrument to measure self-conception was the self-conception test of Bentley and of Yeatts (1974) which Lim Chun Geum (1995) translated and corrected. The instrument to measure a child’s perspective-taking ability is the tool of Hudson, Forman and Brion (1982) which Shin Hyeon Ok (1995) corrected and complemented. This research conducted from November 16, 2015 to February 5, 2016. In this study, thd interventions were carried out 16 times.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the post-test for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 carried out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s self-concep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tatistically higher difference in cognitive, emotional, social and physical self-conception, which is the sub-domain of a child’s self-conception,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Second, the experimental group’s perspective taking abilit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nd improved perspective taking ability for intention, thinking and emotion, as well as for the sub-domain of a child’s perceptive perspective taking ability,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 및 운영 실태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 읽기전략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 장애유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특수교육 초등 1-2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장자』에 나타난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유아그림책 『우리 할아버지』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 : 텍스트 기호학을 중심으로
-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 영아교사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Metaphor) 분석
-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International Academic Tribune Vol.2 No.2 Contents
- The Granular Representation of Syntactic Cartography
- The Image of China in Irish Literature Since the 20th Centur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