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이용수  8

영문명
The Relationships among Children's Cognitive Ability, Playfulness, Leadership, and Attention Ability
발행기관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저자명
김명나 차상진 황어진
간행물 정보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255~28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들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주의집중력, 리더십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유아의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92명으로 평균 월령은 69.01개월이었다. ‘K-WISC-IV’, ‘Mr. CUCUI’ ‘유아 놀이성 검사도구’ 그리고 ‘유아 리더십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 적률 상관계수와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의 인지능력 전체와 놀이성, 리더십 및 주의집중력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의집중력, 리더십 중 민감성, 놀이성 중 신체적 자발성이 유아의 인지능력에 영향력이 있는 정적예측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놀이성 중 유머감각은 유아의 인지능력에 영향력이 있는 부적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그 중 주의집중력이 가장 큰 예측변인으로 밝혀졌으며, 다음으로 리더십 중 민감성, 놀이성 중 유머감각, 신체적 자발성 순으로 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among cognitive ability, attention ability and leadership of children, and to investigate predictors affecting children’s cognitive ability. The subjects were 92 five-year-old children currently attending kindergarten with a mean age of 69.01 months. The study collected data using the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 Fourth Edition(K-WISC-IV)’, ‘Mr. CUCUI’, ‘children’s playfulness scale’ and ‘children’s leadership scal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tested with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es indicate that the total cognitive ability of children i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yfulness and leadership as well as attention ability. Moreover, attention ability and the sensitivity and physical spontaneity subdomains of the leadership and playfulness scales, respectively, were found to be positive effective predictors while humor a subdomain of the playfulness scales was a negative effective predictor of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mong the predictors, attention ability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of children’s cognitive ability followed by the sensitivity subdomain of the leadership scale, humor, and the physical spontaneity subdomain of the playfulness scale in descending order.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명나,차상진,황어진. (2017).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 (4), 255-280

MLA

김명나,차상진,황어진.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8.4(2017): 255-2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