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이용수 4
- 영문명
- Analysis on young children's metaphorical images of parents as represented by young children's drawing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조은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4호, 59~8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들이 엄마, 아빠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은유적인 그림으로 표현해내는지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5세 유아 24명과 Anthony Brown의 『우리 엄마』, 『우리 아빠가 최고야』 그림책을 함께 읽고 은유적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눈 후, 자신의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그림을 그려보았다. 이를 개별 면담 내용과 함께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부분의 유아들이 엄마를 아름다운 대상, 미(美)를 상징하는 천사, 공주, 요정 등으로 나타냈고, 한편으로는 공룡, 화산과 같이 무섭고 두려운 대상으로 묘사하기도 하였다. 다음으로, 아빠의 은유적 이미지는 신체운동 능력이 뛰어난 운동선수의 모습으로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고, 반면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자체를 어려워하면서 아빠를 실제 모습이면서도 정적이고 무미건조한 형태로 그리기도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현대 사회의 부모-자녀 관계의 중요성과 나아갈 방향을 찾아가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더불어, 유아들이 자신의 생각을 감각적이고 은유적인 방법으로 표현해낼 수 있는 역량이 있으며, 이를 위해 그림책이라는 매체가 의미 있게 활용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mother and father and how much they are capable of painting their parents in metaphorical ways by investigating their actually painted images of their mother and father.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4 children. First, we read Anthony Brown's picture books, 『My Mum』 and 『My Dad』 to the children to provide guidance on what are metaphorical images and how they are painted. And then, the children were asked to express their parents in the form of a metaphorical painting and explain their expression to 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Most children imaged their mother as an angel or princess that looks so pretty and beautiful with many different colors. However, some children painted their mothers with the image of a roaring dinosaur or an erupting volcano. Next, in their metaphorical images of their fathers, most children drew athletes like golfers, suffers, football players and swimmers who can do what they cannot do. However, a few children painted their fathers as a person who looks like they are staying still or are dull without any remarkable personalit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ildren are capable of expressing their thoughts in sensitive and metaphorical ways rather than just in reproductive ways, beyond the notion that children have limitations in their linguistic or artistic expression abilities. Such cognitive or artistic capabilities found here should be developed and encouraged to be used more through a variety of opportun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교 안전교육 7대 표준안'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영역별 인식 및 운영 실태
- 3, 4,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동화활동에 제시된 교사의 언어적 상호작용 유형 분석
-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 및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 인성그림책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이 유아의 자아개념 및 조망수용 능력에 미치는 영향
- 그림책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체계 연구
- 엄마, 아빠에 대한 은유적 이미지 분석 : 만 5세 유아들의 그림을 중심으로
- 읽기전략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흥미도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감정 표현 특성 분석
- 장애유아 누리과정의 의사소통영역과 특수교육 초등 1-2학년 국어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 『장자』에 나타난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의미가 유아교육에 주는 함의 탐색
- 유아그림책 『우리 할아버지』에 나타난 삶과 죽음에 대한 고찰 : 텍스트 기호학을 중심으로
- 유아의 인지능력과 놀이성, 리더십, 주의집중력 간의 관계
- 영아교사의 영아놀이에 대한 메타포(Metaphor) 분석
- 혼합연령 유아학급의 또래지위에 따른 또래관계 특성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