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이용수 5
- 영문명
- Operating State and Awareness of the Nuri Curriculums for Ages 3 to 5 by Daycare Teachers in Char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조인영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59~18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실태 및 인식을 파악하여 개선점을 찾아 장애유아 대상 누리과정 운영 시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26개 어린이집에서 누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보육교사 1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는 누리과정을 활용하여 보육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교사 개인 변인에 따라 살펴본 결과, 장애유아 보육경력, 학부전공, 누리과정 교사 연수 이수여부, 근무기관의 유형, 기관의 장애보육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는 누리과정이 장애유아의 교육적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며 활용할 수 있는 교수자료 등이 미흡하여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보육 시 부적합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누리과정 운영 시 동반되는 어려움과 장애 요인을 제거해 줄 때 장애유아를 대상을 한 누리과정 운영이 좀 더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Nuri curriculums for ages 3 to 5 among childcare teachers in char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ir awareness of the curriculums in an effort to seek workable reform measures. This study provides a foundation to help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s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34 childcare teachers who implemented the Nuri curriculums in 26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daycare teachers who were in charg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provided care in accordance with the Nuri curriculum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ir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s by personal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offering care for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major in colleges, whether to take one or more training course(s) in the Nuri curriculums, the type of workplace and the type of care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the workplaces. Second, the teachers did not think that the Nuri curriculums fully reflected the educational needs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and they did not consider the curriculums to be appropriate for these children, due to a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s availabl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aycare teachers in charge of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will be able to implement the Nuri curriculums in a more effective way when their related difficulties and barriers are all elimina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IV. 결론 및 논의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