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이용수 3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71~28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를 분석하였다.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논문 19편을 대상으로 CMA 메타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61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선정된 자료로부터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의 전체 평균 효과 크기와 변인 간 평균효과 크기의 차이를 밝히는 데에 있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의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1.08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위요인으로 사회적 유능감과 사회적 능력의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사회능력 발달을 위한 프로그램 적용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사회적 능력을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조절변인별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실험 처치기간은 9주 이상, 처치횟수는 16회 이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효과크기가 크고 소집단보다는 대집단활동이 효과크기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면, 유아 사회능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을 고려하여 유아의 사회능력 신장을 위한 전략 및 도구를 개발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variables that influenc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from 2001 to 2016 were analyzed for the effects of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Among the 19 papers selected for this study, the moderating variables influences the social competence effect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education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Thu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average effective size of each variable and the average effective size between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1.08 (U3=85.99), which represented a large effect according to Cohen's standard. Secondly, the size of the effect on social competence showed differences depending on application period of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the program. Ultimate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strategies and tools for the development of soci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