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이용수 6
- 영문명
- Exploration of Communication Content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in Infant Class Notes from 1-year old Classe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13~24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교류수단인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을 탐구하고 주요 의사소통 내용을 알림장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네 곳에서 만1세반 알림장 10권을 수집하여 2015년 3월 2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부모는 영아의 기분과 건강에 관련한 내용, 하원 후 가정에서의 일과, 안부 및 감사, 어린이집 행사나 일정문의, 영아의 행동 특성 및 문제 상담을 기재하고 있었으며 교사는 영아의 기분과 건강, 어린이집에서의 일과, 식사 및 간식 량, 문제 행동상담, 기본생활습관지도를 기재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영아반 부모와 교사에게 실증적인 의사소통 자료를 제공하고, 보육현장에서 알림장을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mmunication contents between parents and child-care teachers in class notes as a mean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home and early child-care centers, and to find ways to communicate main concerns more effectively through class not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analyzed 10 class notes from the 1-year-old classes at 4 child-care centers in P city. From March 2 to August 31, 2015, f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ollected information of the class notes by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ommunication contents of parents and child-care teachers were divided into 5 categories each. Parents were informed about the 1). mood and health of the infants, 2). daily routines at home, 3). regards and thanks to teachers, 4). nursery event and schedule inquiries, and 5). behavior characteristics and problem counseling for infants. And teachers described the 1). mood and health of the infants, 2). daily work at the day care center, 3). amount of meals and snacks, 4). problem behavior counseling and 5). basic lifestyle instru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nd the function of class notes to be effective communication tools, and suggest meaningful measures to use class notes more effectively in the child-care fiel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분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