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Par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he Demand for Parents'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연승 이유나 김현정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357~37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조사를 통해 향후 유아교육현장에서 가정과 연계한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방향 탐색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B시에 소재하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보통이상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을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사회적 지속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생태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지속가능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교육 요구는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부모교육 내용에 대한 요구를 영역별로 살펴보았을 때 생태적 지속가능성, 사회적 지속가능성, 경제적 지속가능성, 정치적 지속가능성 순으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이 높을수록 지속가능발전 사회적, 생태적, 경제적, 정치적 지속가능성 영역에 대한 부모교육의 요구가 높아지는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들의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반영하여 지속가능발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knowledge on the direc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education and to develop education for parents by learning what they know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290 parents who had an early childhood in B city. The developed program had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general knowledge on sustainable development was above average. Social sustainability was the highest,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and politic sustainablilty were high in that order of understanding by subject area. Second, the demand of parents about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economic sustainability, and politic sustainablilty were high in that order of demand by subject area. Third, a positive relationship in this study was identified: when the parents level of recogni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was higher, the parents demand for each subject area was higher, the subject areas were social, ecologic, economic, and politic sustainability. These results, It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veloping education programs on sustainable development to help educate parents on sustainable development which would meet the continuous demand of par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