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Quality Picture Books on Disability Related Topic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121~14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선정과 활용을 목적으로 장애 관련 그림책 25권을 선정·분석하여 그들의 특성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외적 양상은 우리나라 그림책이 외국 그림책의 번역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고, 주요 등장인물은 사람이었으며, 시각장애와 신체적 장애에 관한 내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적 양상으로는 장애인물과 주변인물의 상호관계가 긍정적이고 수용적으로 묘사되었고, 1인칭 화자에 의한 서술이 많았으며, 그림의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정보를 전달하여 서사를 풍부하게 하였다. 둘째,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이 나타내는 특성으로는 장애 이해를 위한 참신한 접근 방식으로 장애 수용의 서사, 공감각적 자극을 유도하는 표현기법으로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성이 높은 예술적 텍스트, 사회적 맥락에서 장애인의 삶을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장애인을 '우리'로 수용하는 것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선정기준과 창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various aspects of picture books on disabilities for the appropriate selection and use in education. Based on former studies, picture books on disability topics were collected, and among them, 25 book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language of the books, the number of picture books written by Korean writers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ose translated into Korean. The main characters were human, and physical disabilities were mainly depicted and the most identified disability. In terms of the books, mutual relationships between disabled characters and other characters were positively depicted and frequently written in the first-person perspective, and information and plenty of narrative were communicated by the various techniques used for the pictures. Second, the picture books analyzed had a number of particular elements: a unique narrative of accepting disabilities to understand disabilities, artistic texts which extend meaning by using multisensory expressions for enhancing interactivity between the text and image, giving information in various situation and realistic contexts and accepting disabled as '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offer qualitative support in education practice by suggesting standards for selecting books related with disability education and be used as a foundation for researching and creating picture books which are on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