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s among Mothers' Perceptions on Picture Books, Interactions with Children through Reading, an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 Comparison of Regular Books and E-books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간행물 정보
- 『어린이문학교육연구』제18권 제1호, 69~9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종이책과 전자책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유아와의 상호작용 양상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어머니와 유아 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이 유아의 표현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서울에 거주하는 만 5세 유아 200명과 그 어머니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들은 유아용 전자책보다 종이책에 대해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유아 간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양적·질적 측면에서 모두 전자책 보다 종이책을 활용해서 더 풍부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과 상관이 있었다. 넷째, 어머니가 종이책의 필요성과 즐거움, 전자책의 필요성과 이점을 인식하는 것이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종이책과 전자책의 유형과 상관없이 어머니-유아 간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은 유아의 표현언어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mothers' perceptions on picture books and their interaction with children using books by comparing paper books and e-books. These variables were used to analyze their effects on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children. A total of 200 mothers and their 5-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others showed a more positive perception toward paper book than e-books. Second, the mothers and their children interacted more fully with the paper books with the e-books, measure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ird, the mothers' perceptions on books were correlated with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using the books. Fourth, the mother's perceptions on the necessity and pleasure of reading paper books or the necessity and benefits of reading e-books affected their reading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Lastly, the mother-child reading interactions explained the expressive language ability of a child, regardless of the types of book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운영에 대한 장애유아 담당 보육교사의 실태 및 인식
- 어머니의 그림책에 대한 인식, 유아와의 읽기 상호작용, 유아의 표현언어능력 간의 관계 : 종이책과 전자책의 비교
- 동요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통합적 예술표현 활동이 만 2세 영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기관 원장(감)과 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역량
- 감사 관련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감사성향과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유아의 실행기능이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유아기 부모의 인식 및 부모교육 요구
- 동화를 활용한 평화교육활동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갈등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 통합 미술교육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 우리나라 사실주의 그림책에 나타난 형제갈등 구조분석
- 숲을 활용한 자연생태체험놀이 활동이 장애아동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
- 장애 관련 우수 그림책의 특성 분석
- 유아 동기 유형 평가도구 적용 군집화 및 사례분석
- 어린이집 만1세반 알림장에 나타난 부모와 교사의 의사소통 내용 탐구
- 어린이집 CCTV 설치의무화에 따른 교사의 어려움과 바람
- 유아 사회능력 발달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유아의 창의적 인성과 자기조절력 및 어머니의 내외통제성 간의 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