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부모가 지각한 늘봄학교 인지도와 참여의도 간의 관계에서 관심도의 매개효과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Neulbom School and Participation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임명재 김영기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11권 제3호, 55~7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늘봄학교의 정책대상자인 초등학생의 참여의도를 향상하는 부분을 검토하기 위해 주요 의사결정에 관여되는 학부모 392명을 대상으로 늘봄학교에 대한 인지수준이 관심도를 거쳐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학술적 차원과 실무적인 차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도와 관심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인지도와 참여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관심도와 참여의도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학부모를 대상으로 늘봄학교의 인지도가 관심도를 거쳐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학부모를 대상으로 늘봄학교의 참여의도를 높이기 위해서 놀봄학교의 전반사항과 늘봄학교의 가치 중요성 정보를 인지할 수 있도록 교육, 간담회, 특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Neulbom School on the particip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the policy target of Neulbom School, in 392 parents who are involved in major decision mak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interest, but no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articipation,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est and participa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Neulbom School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degree of interest for par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education, social gatherings, special lectures, and programs are needed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in the school so that they can recognize the overall contents of the school and the importance of valu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