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이용수 132
- 영문명
-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for Improving the Job Competency of After-School Care Staff in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방과후학교학회
- 저자명
- 오범호 이고은
- 간행물 정보
- 『방과후학교연구』제11권 제3호, 31~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연수 및 지원 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직무분석을 통해 초등돌봄전담사의 직무모형을 설정하고, 경기도교육청 소속 돌봄전담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직무별 중요도, 실행도, 곤란도를 조사하였다. 설문 결과는 Borich 요구도 모델과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우선순위가 높은 직무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예산 운용, 외부 강사나 대체인력 등에 대한 채용과 관리, 학생 생활 지도, 학부모 면담 및 상담일지 작성, 급・간식 업체 선정 및 납품 확인, 수요조사 및 접수와 반편성에서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돌봄전담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및 연수 전략 수립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ducational demands of after-school care specialist in elementary schools. A total of 721 data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iculty of each job. The Borich demand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re used to test survey results, and jobs with the highest priority were identified based on combined outcom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udget management, hiring and managing external instructors and substitutes, demand surveys and intake for student recruitment, student life guidance, interviewing parents, keeping a counseling documentation, selection and confirmation of meal and snack suppliers were identified as priority jobs that need to be strengthened. Based on these findings, policy were proposed to establish support and training strategies to improve the capacity of after-school care staff in elementary schoo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