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농촌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기법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이용수 145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Group Counseling Program Based on Reminiscence Techniques to Improve the Sense of Self-Integration of Jeju Rural Senior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김정선 김성봉 강제윤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3호, 525~54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 농촌 지역 노인들의 자아통합감을 증진시키기 위해 회상기법을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농촌 지역의 노인들은 자녀와의 물리적․심리적 거리감, 경제적 어려움, 사회적 고립과 같은 심리적․사회적 문제를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들의 심리․정서적 지원을 위해 노인들의 과거 경험을 회상하고 자아통합감을 증진시키는 맞춤형 프로그램을 설계하였고, 제주 농촌 지역 노인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아통합감과 삶에 대한 태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하였다. 특히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들은 과거의 삶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고, 현재와 미래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게 되었다. 이 연구는 농촌 지역의 노인들이 겪는 특수한 사회적․심리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며, 향후 다양한 지역과 인구 집단에 맞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reminiscence-based group counseling program to enhance ego integrity in elderly individuals living in rural areas of Jeju. The program sought to improve participant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quality of life through reflective practices. Methods: For this study, an eight-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using reminiscence-based media, including salt, clay, and collage. The program encouraged participants to reflect on their life experiences, promoting emotional expression and introspec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feedback and psychological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go integrity among the participants. Enhanced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ocial integration were observed as a result of the supportive environment created in the group counseling sessions. Conclusions: Participants benefited from the program by fostering a greater sense of ego integrity, emotional well-being, and social support. The findings suggest that reminiscence-based group counseling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psychological health of rural elderly populations. Future studies should explore its long-term effects and broader applicability across diverse demographic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이미지를 활용한 내러티브 상담 경험: 미해결 원가족 이슈를 경험한 여성 사례들을 중심으로
- 중년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 미혼남녀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석: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의 관련 및 결혼의향 차이 탐색
- 음주 문제가 있는 두 청년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한 성인의 가족관계 경험과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제주 농촌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기법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한국 부부·가족상담 전문가들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