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한 성인의 가족관계 경험과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이용수 193
-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and Recovery of an Adult with Childhood Attachment Traumatic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고세원 김명찬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3호, 421~453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가족에서의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결혼 후 가족관계 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외상 후 회복 과정에서 이루어진 가족관계의 회복 경험을 내부자적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러한 외상을 경험한 사람들에 대한 이해를 돕고 상담학적 의미를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 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하여 기억자료, 자기관찰과 자기분석이 포함된 일기자료, 가족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들을 가치코딩, 감정코딩, 종단코딩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애착외상 경험이 세대를 관통하여 이어지며 외상 경험으로 인한 부적응적인 심리 작용들이 결혼 후 가족관계에서 반복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가족관계가 회복되어 가는 과정을 통해 나타난 변화 요인들을 확인하고 나아가 세대를 거듭하며 이어져 내려온 가족의 아픔에 대해 가족 구성원들과 함께 성찰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act of childhood attachment trauma experiences in the original family on the experience of family relationships after marriage and the experience of restoring family relationships in the process of post-traumatic recovery from an insider's point of view, to help understand those who have experienced such trauma and to suggest counseling implica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we applied autoethnograph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llect data such as memory data, diary data including self-observation and self-analysis, and family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value coding, emotion coding, and longitudinal coding during data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ence of attachment trauma continues across generations and that maladaptive psychological processes resulting from the traumatic experience are repeated in family relationships after marriage. Moreover, the changing factor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family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이미지를 활용한 내러티브 상담 경험: 미해결 원가족 이슈를 경험한 여성 사례들을 중심으로
- 중년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 미혼남녀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석: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의 관련 및 결혼의향 차이 탐색
- 음주 문제가 있는 두 청년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한 성인의 가족관계 경험과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제주 농촌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기법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한국 부부·가족상담 전문가들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