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이용수  218

영문명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Perceived by College-aged Children: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ly-imposed Perfectionism and Self-Compassion
발행기관
한국가족치료학회
저자명
임은란 송지숙
간행물 정보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3호, 503~52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에서,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하는 남녀 대학생 3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온라인 자기 보고식 설문을 수행하여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6과 PROCESS Macro Version 4.2 for SPSS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 결과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각 세 변인과 자기 자비 사이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대학생의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를 높게 하고 이로 인해 낮아진 자기 자비가 대인관계 문제를 더 심화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에서 문제를 경험하는 대학생들을 위한 부모 양육 코치, 가족상담 및 상담 개입에 있어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Methods: To achieve this, an online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32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the surrounding metropolitan area.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 and PROCESS Macro 4.2 for SPSS. Results: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personal problems,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hil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nd self-compassion. Second,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as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parental coaching, family counsel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aimed at addressing interpersonal issues among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은란,송지숙. (2024).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2 (3), 503-524

MLA

임은란,송지숙.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 32.3(2024): 503-5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