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이용수 129
- 영문명
- The Spousal Suppor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Couples: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조성숙 김민희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3호, 485~5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을 통해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으며, 40세부터 60세까지 결혼을 유지하고 있는 중년기 부부 223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및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3.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부부의 배우자 지지받기의 결혼 만족에 대한 자기효과는 부부 모두 정적으로 유의하였으나 상대방효과는 아내의 경우만 정적으로 유의하였다. 둘째, 중년기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의 결혼만족에 대한 자기효과는 아내의 경우만 부적으로 유의한 반면 상대방 효과는 부부 모두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년기 부부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spousal support on marital satisfaction in middle-aged couples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Methods: For this purpose, 223 couples aged 40-60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e study.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3.0,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3.0.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ile receiving spous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for both husbands and wives among the middle-aged couples, the partner effect was significant only for wives. Second, giving spous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for wives, and the partner effect was significant for both husbands and wives among the middle-aged couples.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 more they perceived receiving spousal support,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Also, the more they perceived giving spousal support, the lower their spouses’ marital satisfact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이미지를 활용한 내러티브 상담 경험: 미해결 원가족 이슈를 경험한 여성 사례들을 중심으로
- 중년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 미혼남녀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석: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의 관련 및 결혼의향 차이 탐색
- 음주 문제가 있는 두 청년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한 성인의 가족관계 경험과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제주 농촌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기법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한국 부부·가족상담 전문가들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