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impact of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of caregiver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발행기관
한국교류분석상담학회
저자명
조하영 김정은
간행물 정보
『교류분석상담연구』제15권 제1호, 77~10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장기요양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에서 요양보호사로 재직 중인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및 대면 설문조사를 하여 그중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배제하고, 총 유효 응답 결과인 283부에 대해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을 하였다.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변수 간 방향성을 확인하고, 연구모형에 따른 검증은 다중회귀분석과 매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감정노동, 서비스질, 회복탄력성의 변인들 간의 영향과 감정노동과 서비스질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서비스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은 회복탄력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회복탄력성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회복탄력성의 긍정적인 매개효과를 통해 궁극적으로 장기요양서비스 대상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질의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을 완화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이를 통해 장기요양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impact of nursing caregivers’ emotional labor on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To this end, 300 people working as nursing caregivers in Gyeongsangbuk-do were surveyed online and face-to-face, and after excluding the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5.0 program for 283 valid response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confirm the directionality between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variables of emotional labor, service quality, and resilie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ervice qu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givers’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service quality; second, caregivers’ emotional labor has a negative effect on resilience. Third, there i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on the effect of caregivers’ emotional labor on service qualit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aregivers’ emotional labor positively mediates resilience, which ultimately affects the level of service quality provided to long-term care recipien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mitigating caregivers’ emotional labor, and aims to contribute to suggesting concrete measur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ong-term care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하영,김정은. (2025).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류분석상담연구, 5 (1), 77-105

MLA

조하영,김정은.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류분석상담연구, 5.1(2025): 77-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