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주 문제가 있는 두 청년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이용수 155
- 영문명
- A Family Therapy Case Study of Two Youth Clients with Alcohol Problems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이은형 박태영 김을수 이병주 장다롬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32권 제3호, 455~4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녀의 음주 문제로 인한 갈등을 호소하는 두 가족의 가족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내담자들의 음주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치료자의 개입 방법에 따른 내담자와 가족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내담자 A와 B의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개인, 가족, 사회․문화적인 요인으로 구분하고, 치료자의 개입방법을 네 단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가족치료 효과를 개입방법에 따른 내담자와 가족의 변화로 제시하였다. 먼저, 자녀의 음주 문제에 영향을 미친 요인 중 개인적 요인은 높은 불안과 회피적 성향으로 분석되었고, 가족 요인은 부모의 원가족 요인, 부정적인 양육방식, 역기능적인 의사소통방식과 술에 관대한 가족문화로 나타났다. 사회․문화적 요인은 가부장제 문화와 남아선호사상으로 사회․문화적인 요인이 가족요인과 개인적 요인에 영향을 주어 두 내담자의 음주 문제를 강화시켰다. 가족치료자의 개입방법은 내담자의 음주문제에 영향을 미친 세대간 전이 인식시키기,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된 해결방식 탐색하기, 원가족에서 사용한 역기능적인 의사소통 방식 탐색 및 인식시키기와 문제해결을 위한 새로운 기능적인 의사소통 방식 학습하기로 총 4단계로 분석되었으며, 치료자의 개입으로 인해 내담자와 가족 간의 신뢰가 높아지고 기능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해지면서 음주 문제가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자녀의 음주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각 요인 간의 순환성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자녀의 음주문제가 있는 가정에 가족치료적 개입을 기반으로 한 실천기술을 제공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clients’ drinking problems and changes in clients and their families depending on intervention methods of therapists, focusing on two family therapy cases involving conflicts due to children’s drinking problems. Methods: The study utilized a case study method, allowing for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cases. Results: This study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children’s drinking problems included person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socio-cultural factors. Personal factors were high anxiety and avoidant tendencies. Family factors included issues stemming from the parents’ families of origin, negative parenting styles, dysfunctional communication methods, and a family culture tolerant of drinking.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d patriarchal culture and a preference for son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a multifaceted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children’s drinking problems and elucidate the cyclic nature of these factors. Addition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providing practical techniques based on family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families with children’s drinking problem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이론적 준거틀
Ⅳ. 연구 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생성형 AI 이미지를 활용한 내러티브 상담 경험: 미해결 원가족 이슈를 경험한 여성 사례들을 중심으로
- 중년 부부의 배우자 지지제공과 지지받기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
- 미혼남녀의 결혼 및 자녀가치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 분석: 개인주의와 집단주의와의 관련 및 결혼의향 차이 탐색
- 음주 문제가 있는 두 청년 내담자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 아동기 애착외상 경험이 있는 한 성인의 가족관계 경험과 회복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제주 농촌 노인의 자아통합감 증진을 위한 회상기법 기반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 대학생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대인관계 문제의 관계: 사회 부과적 완벽주의와 자기 자비의 순차 매개효과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 한국 부부·가족상담 전문가들의 공통요인(common factors)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