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문화예술교육사 연구동향
이용수 143
- 영문명
- Research Trends of Culture and Arts Educator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문화교육학회
- 저자명
- 최지혜 김은경 김한승 조대연
- 간행물 정보
-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2호, 233~25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에서 출판된 문화예술교육사를 다룬 논문들을 분석하여 문화예술교육사 연구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학술데이터(RISS)를 활용하여 365편의 논문을 검색하였고 이 중 분석대상 논문으로 94편이 선정되었다. 94편의 논문에 대하여 연구물 특성,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을 자료분석 틀로 하여 기술통계를 활용한 문헌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2년 이후 꾸준히 문화예술교육사를 다룬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특히 2018년 연구물의 양이 급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연구주제로는 무용, 음악, 미술 등의 전공 영역에서 제도 자체에 대한 고찰, 인식조사, 교육과정 및 교수안 개발 등을 주제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 주제어의 경우, 문화예술교육, 예술강사, 무용, 문화예술교육사 교육과정, 문화예술교육사 역량, 문화예술교육사 제도, 예술교육, 현장실습 등의 순으로 연구가 많았다. 연구대상의 영역으로는 문화예술교육사 전반을 다루는 통합영역의 문화예술교육사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무용, 음악, 미술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가 다수였으며, 다음으로 질적연구, 양적연구, 혼합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cultural arts education in Korea. For this purpose, 94 articles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the 94 articles,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analyze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as the data analysis framework.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first, research on the cultural arts education has been conducted steadily since 2012, and the amount of research has increased dramatically, especially in 2018.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opics, a variety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major areas of dance, music, and art with themes such as reviewing the system itself, exploring perceptions, and developing curricula and teaching plans. In terms of research topics, the most common were cultural arts education, art instructor, dance, cultural arts educator curriculum, cultural arts educator competency, and cultural arts. In terms of the areas studied, the most common area was the integrated area of cultural arts education, which covers the cultural arts education in general, followed by dance, music, and art.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literature studies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qualitative studies, quantitative studies, and mixed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 한 문학상담 전공생의 예술가-되기에 대한 예술기반 자문화기술지
- 시민연극이 지닌 사회적 역할로서 발달장애인 평생교육의 가능성
- 국내 문화예술교육사 연구동향
- NFT 아트의 이해 및 미술교육적 활용 탐색
- 인문적 소양 함양을 위한 하브루타 기반 음악교육 설계 방안 연구
- 진로연계학기 도입에 따른 국악 수업방안에 관한 연구
- 결혼이민자 한국 문화 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 문화영역 개선 방향에 관한 고찰-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관점 중심으로
- 박물관교육의 의미 고찰- 박물관교육의 요소․목적․방법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어판 단축형 번영(thriving)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특수교사를 중심으로
- 다문화가정 장애 영유아 지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 요구
-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의뢰 경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