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이용수  136

영문명
A Study on the Reality and Percep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발행기관
한국문화교육학회
저자명
박지원 신지혜
간행물 정보
『문화예술교육연구』제18권 제2호, 125~14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현직 중등 음악교사의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였고,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조사를 거쳐 전국의 중·고등학교 음악교사를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총 102부의 설문지를 통계 처리하여 결과 해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조사 결과, 가창, 기악, 창작, 감상 영역에서 교사들은 다른 나라의 배경이나 문화를 소개하는 활동을 주로 진행했다. 활동에 대한 이유와 수업 시 겪는 어려움은 영역별로 응답의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다문화 음악교육의 인식 조사 결과, 대부분의 음악 교사는 다문화 음악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과반수 이상의 음악 교사가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현장 적합성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지만, 다양하고 질 높은 교육자료의 확충이 가장 필요한 개선점이라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결론에서 다음과 같이 논의하며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첫째. 다양한 주제와 방식의 교사 연수를 늘려 교사 역량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둘째, 다른 나라 고유의 특징적인 발성이나 창법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자세한 자료와 교과서의 설명이 필요하다. 셋째, 전체 학생으로 대상으로 한 다문화 교육 정책의 필요성과 교과 특성에 맞춘 구체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ravel the status quo and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research conducted on secondary school music teachers across the country. Music teachers commonly introduced musical cultures of foreign countries when carrying activities concerning areas of singing, instrumental music, composition and music appreciation. The reasons for such activities and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during classes differed in responses for each area. In addition, most teachers were aware of the need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fact, more than half of the teachers agreed on providing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yet they felt a stronger need for more variety in high quality education materials. To improve pedagogical competencies, it is crucial to encourage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topics and create textbooks that cover diverse vocalization and singing methods in various countries. It is also important to implement policies that prioritizes a specific, long term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o al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다문화 음악교육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지원, 신지혜 . (2023).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문화예술교육연구, 18 (2), 125-149

MLA

박지원, 신지혜 . "중등음악교사들의 다문화 음악교육의 실태 및 인식 조사." 문화예술교육연구, 18.2(2023): 125-1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